RNA 이용 1-2주만에 세포공장 생성 … 화학-바이오산업 연계
화학뉴스 2013.01.21
국내 연구진이 바이오에너지, 의약품, 친환경 소재 등을 쉽고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KAIST) 특훈교수팀이 맞춤형으로 합성한 조절 RNA(유전정보전달물질)를 이용해 1-2주 만에 높은 생산성을 보이는 미생물 <세포 공장>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1월20일 발표했다. 세포공장은 세포의 유전자를 조작해 원하는 화합물을 대량으로 만드는 미생물 기반의 생산시스템으로 친환경 바이오에너지와 의약품 생산의 핵심기술이다. 생산력이 뛰어난 세포공장을 개발하려면 원하는 화합물을 만드는 유전자 선별과 높은 생산율의 미생물을 찾는 과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 연구방식으로는 미생물의 유전자를 DNA 단위에서 하나씩 조작해 실험과정이 복잡하고 소요시간도 길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이상엽 교수팀은 DNA 대신 RNA 단위에서 유전자를 조작해 빠르고 간단하게 생산효율이 높은 세포공장을 만드는 방법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합성조절 RNA 기술을 활용해 집중력 향상 효과가 있는 아미노산인 타이로신(Tyrosine)과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 석유화학제품에 활용되는 카다베린(Cadaverine)을 세계 최고의 효율로 생산하는 세포공장을 개발했다. 이상엽 교수는 “합성 조절 RNA 기술로 다양한 물질을 생산하는 세포공장 개발이 활발해질 수 있다”며 “석유에너지 등 화학산업이 바이오산업으로 넘어가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성과는 과학전문지 <화학저널 2013/01/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점/접착제] LG화학, 고효율 실버 페이스트 개발 | 2025-06-16 | ||
[아로마틱] 방향족, 미생물로 고효율 생산한다! | 2025-05-07 | ||
[정밀화학] 화학연, 고효율 암모니아 촉매 개발 | 2025-02-18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최고효율 탠덤 셀 개발 | 2024-12-19 | ||
[석유화학] 하니웰, ECC‧PDH 고효율화한다! | 2024-10-2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