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개발 “성큼”
은나노와이어로 투명전극 생산 … 저항 2배 낮고 산화되지 않아
화학뉴스 2013.01.24
국내 연구진이 <은 나노 와이어>를 이용해 유연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투명전극을 만들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의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효영 성균관대 교수와 삼성전기 소속 김운천 박사 등의 공동연구팀이 은 나노 와이어를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으로 코팅해 유연한 투명전극 필름을 개발했다고 1월24일 발표했다. 투명전극 필름의 원재료로는 인듐(In)이 사용돼왔으나 지구 표면 중 구성비가 0.2ppm(1백만분의1)에 불과한 희귀광물이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고 구부리면 부서지기 쉽다는 단점이 있으며, 은 나노 와이어는 단면 지름이 나노미터(㎚ㆍ10억분의1m) 단위이며 투명하면서도 잘 휘어지는 재료이기 때문에 인듐의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으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코팅하면 투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은 나노 와이어를 친수성 플래스틱 기판과 산화그래핀 사이에 두고 밀착 코팅하는 방식으로 기존 은 나노 와이어 투명전극보다 저항은 2배 이상 낮고 투명하며 2개월 이상 공기에 노출해도 산화되지 않는 투명전극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효영 교수는 “희귀금속이 부족한 우리나라가 세계 투명전극 필름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려면 새로운 소재발굴이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며 “인듐보다 공정이 쉽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은 나노 와이어 산화그래핀은 앞으로 투명전극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과학출판전문 네이처 퍼블리싱 그룹이 발간하는 <화학저널 2013/01/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바스프, 퀀텀닷 디스플레이 친환경화 | 2025-09-22 | ||
[산업정책] 할당관세, 반도체‧디스플레이 확장 | 2024-12-02 | ||
[전자소재] 디스플레이, 해외 기술 유출 “심각” | 2024-11-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플렉서블 실증 착수 | 2025-09-12 | ||
[자동차소재] 자동차 시스템, 배터리부터 디스플레이까지 차세대 개발 경쟁 본격화…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