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면적 나노선 합성기술 개발
울산과기대, 무촉매․무패턴 방식 … 태양전지 적용 기대
화학뉴스 2013.06.10
국내 연구진이 미래 유망기술로 꼽히는 나노선(Nano Wire)을 효율적으로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기술을 응용하면 고효율·저가의 태양전지 소자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최경진 교수와 한국광기술원 신재철 박사 공동 연구팀은 무촉매․무패턴 방식으로 대면적의 반도체 나노선을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나노선은 단면 지름이 수십에서 수 나노미터(10억분의1미터) 정도인 극세미세선으로 트랜지스터, 메모리, 센서 등 첨단 전기전자 소자를 개발하는데 핵심적으로 필요한 미래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반도체 나노선은 주로 금속나노입자를 촉매로 사용하거나 나노패터닝 기술을 이용해 합성해왔으나 금속 촉매는 반도체의 특성을 떨어뜨리는 불순물로 작용하고, 패턴공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한계가 있었다. 공동 연구팀은 실리콘(Silicone) 기판과 화합물 반도체(Ⅲ-Ⅴ 반도체)를 이용해 한계를 극복하고 나노선을 대면적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실리콘 기판과 Ⅲ-Ⅴ 반도체 물질 사이의 격자 상수 차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인(Strain: 압력에 따른 변형)을 이용해 무촉매․무패턴 방식으로 반도체 나노선을 확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세계 최초로 나노선을 대면적(2인치) 실리콘 웨이퍼에 균일하게 생장하는데 성공했으며, 해당기술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나노선 태양전지를 시현하는데도 성공했다. 최경진 교수는 “해당기술을 한단계 더 발전시켜 나노선의 밀도와 밴드갭 에너지를 조절하면 나노선이 흡수하는 태양빛의 광량과 파장을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다”며 “제4세대 초고효율·저가형 태양전지를 대면적으로 생산해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결과는 5월17일 나노분야 과학저널인 <화학저널 2013/06/1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전고체전지, 대면적 제조 기대한다! | 2025-09-24 | ||
[신재생에너지] 페로브스카이트, 대면적화 성공 | 2024-03-08 | ||
[전자소재] 반도체, 고효율‧대면적 가능성 실현 | 2015-12-01 | ||
[배터리] 태양전지, 실리콘 나노선 신규개발 | 2015-07-09 | ||
[나노소재] 탄소나노튜브 대면적 정제기술 개발 | 201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