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올레핀 생산은 2013년 800만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NCC(Naphtha Cracking Center)를 가동하고 있는 6대 석유화학기업들은 매출액 대비 EBITDA 비율이 2009년 12.4%로 최고를 기록한 후 2013년(1-9월) 8.2%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불황에도 불구하고 가동률은 96%에 달했다. 아시아 NCC 및 다운스트림 플랜트의 트러블이 잦았기 때문으로, 공급물량은 유지했지만 수익은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2014년에는 상반기가 경기회복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가격 강세가 중국의 자급률 상승에 따라 춘절을 기점으로 꺾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석유화학은 중국의 자급률이 급격히 올라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ECC(Ethane Cracking Center) 및 다운스트림 신증설, 중국의 석탄화학 및 PDH(Propane Dehydrogenation) 확대 영향이 본격화되는 2017년까지 남은 기간이 3년에 불과해 어두운 그림자가 다가오고 있다. 표, 그래프: <국내 6대 석유화학기업의 EBITDA비율 변화><국내 NCC 가동률 전망><국내 올레핀 생산능력 비율 변화><국내 에틸렌 수급 전망><국내 부타디엔 수급 전망><국내 프로필렌 수급 전망><석유화학 3대 다운스트림 수출구조><국제유가 전망><석유화학의 중국수출의존도><중국 폴리올레핀 수입시장의 점유율 변화><올레핀 다운스트림의 가격 스프레드><미국의 에틸렌 신증설 전망><일본의 NCC 다운사이징 전망> <화학저널 2014년 1월 6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싱가폴, 올레핀 수급타이트 장기화 | 2025-10-02 | ||
[석유화학] 나프타, 유가‧올레핀 강세에 상승! | 2025-09-17 | ||
[폴리머] 폴리올레핀, 일본 3사 통합한다! | 2025-09-11 | ||
[폴리머] 알파올레핀, 자동차‧포장 개척하라! | 2025-08-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폴리올레핀, 중국 이어 인디아도 확장 일본, 고기능화로 대응한다!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