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 “키워드”
TV는 2010년 LCD(Liquid Crystal Display) TV의 비중이 70%를 넘어서면서 새로운 성장의 견인차로 LCD LED (Light Emitting Diode) TV가 등장했으나 대형화 추세가 둔화되고 공급과잉과 경쟁심화에 따라 가격하락이 이어지고 있다. 북미, 유럽, 일본 등 선진시장에서 TV 보급률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했고, 소비자들이 두께 외에는 LCD LED TV와 LCD TV의 차이를 느끼지 못해 수요가 부진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TV 생산기업들은 3D TV를 출시함으로써 수요 확대를 노렸으나 3D 콘텐츠 부족으로 3D TV 시장이 사장되고 있어 시장악화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OLED(Organic LED) 개발을 통해 기술혁신을 중심으로 TV 시장을 회복시키려고 시도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디스플레이는 면적, 가격 면에서 성장을 견인하는 전자제품이 TV로 영향력이 가장 크다”고 밝혔다. OLED는 유기물 형태로 BLU(Back Light Unit)가 없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나 투명 디스플레이에 최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화에서 색 재현성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율문제, 높은 제조원가 등을 극복하지 못해 아직은 소형 휴대폰, 태블릿PC 등에 국한돼 채용되고 있다. 표, 그래프: <OLED패널의 원가구조><양자점 구조> <화학저널 2014년 1월 13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 2025-09-26 | ||
[자동차소재] 자동차 시스템, LFP·OLED·AI가 핵심 전기자동차 효율 좌우한다! | 2025-08-29 | ||
[아로마틱] 카본블랙 ②, 일본, 자동차 중심으로 침체 통합·재편으로 경쟁력 강화…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