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인트 시장이 침체에 침체를 거듭하고 있다.
국내 페인트 시장은 2011년 최악의 상황에 돌입해 2012년에는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오히려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 및 자동차용 페인트는 평균을 유지하고 있지만 도로표지용과 전기·전자용 등은 전반적인 경기침체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국내 페인트 시장은 대기업부터 영세 중소기업까지 난립해 있는 구조로 수요가 발생하는 쪽에 진입하기 쉬워 큰 자본으로 시장을 선점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시장은 KCC, 삼화페인트, 노루페인트, 건설화학 등 메이저들이 70% 이상을 장악하고 대화페인트, AkzoNobel 등이 분야별로 독점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페인트 생산량은 2010년 100만7000kl에서 2011년 103만7624kl로 늘어났지만 2012년에는 102만8414kl로 감소했다. 페인트 생산기업들은 포화상태에 이른 성숙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부가가치제품 및 친환경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시장이 한계에 도달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해외진출을 적극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표, 그래프: <국내 페인트 생산동향><일본 도료 생산기업의 해외생산추이><세계 도료 메이저 Top25(2011)><세계 명목 GDP 성장률 변화><세계 도료 소비비중(2011)><세계 도료 생산비중(2011)><아시아 도료 생산동향><일본의 도료 수요비중(2012)><일본 도료 생산기업의 해외생산동향><건축용 페인트 시장점유율(2012)> <화학저널 2014년 3월 10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페인트/잉크] 삼화페인트, 다이아몬드에 색채를… | 2025-09-11 | ||
[페인트/잉크] 삼화페인트, 컬러 뉘앙스 발표 | 2025-09-08 | ||
[신재생에너지] 삼화페인트, 건물일체형 태양광 개발 | 2025-09-0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페인트/잉크] 페인트, 아프리카·인디아 성장 주목 | 2025-09-26 | ||
[페인트/잉크] 페인트, 포트폴리오가 명암 갈랐다!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