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전지용 고효율 유기염료 개발
DGIST 강진규 박사팀, 페노시아진 활용 … 변환효율 11.2% 달해
화학뉴스 2014.04.29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강진규 박사 연구팀이 연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세계 최고인 11.2%로 향상시킨 고효율 유기염료를 개발했다고 4월29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넓은 파장의 영역에서 빛을 흡수하도록 확장된 페노시아진(Phenothiazine) 기반의 새로운 유기염료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또 분자의 소수성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을 첨가함으로써 전자 전달을 극대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료감응 태양전지는 식물의 광합성원리에 착안해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투명하게 제작할 수 있지만 가격이 비싸고 광 흡수 능력이 낮아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팀의 고효율 유기염료 개발로 염료감응 태양전지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개발 및 상용화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강진규 박사는 “DGIST가 염료감응 태양전지 연구 분야를 선도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광전변환효율을 더욱 끌어올리기 위한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소재 원천기술개발사업 가운데 염료감응 태양전지 유기염료의 광 흡수영역 확장기술을 수탁과제로 4년 동안 연구를 진행해왔다. <화학저널 2014/04/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점/접착제] LG화학, 고효율 실버 페이스트 개발 | 2025-06-16 | ||
[아로마틱] 방향족, 미생물로 고효율 생산한다! | 2025-05-07 | ||
[정밀화학] 화학연, 고효율 암모니아 촉매 개발 | 2025-02-18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최고효율 탠덤 셀 개발 | 2024-12-19 | ||
[석유화학] 하니웰, ECC‧PDH 고효율화한다!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