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7월 7일
한국 호조에 일본·타이완은 마이너스
국내 MMA(Methyl Methacrylate) 수요는 2012년 33만톤으로 2011년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액정TV 판매가 호조를 나타냄에 따라 도광판용 MMA 수요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대산MMA는 2013년 초 MMA 9만8000톤, PMMA 6만톤 플랜트를 신규 가동했다. 국내시장은 투명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용 수요가 감소한 반면 미국수출을 중심으로 인조대리석 판매가 호조를 나타내 건축용이 크게 신장했다. 일본은 2011년에 이어 2012년에도 감소세를 계속해 33만톤 수준에 머물렀다. 엔고의 영향으로 글로벌 경쟁력이 악화됨과 동시에 Nippon Shokubai의 폭발사고로 도료, PMMA(PolyMMA)의 원료인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공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생산량은 가을 이후 정기보수가 장기화되고 플랜트 트러블이 잇따라 51만톤에서 45만톤으로 급감했고, 수출량도 15만톤에서 14만톤으로 줄었다. 타이완도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했다. 표,그래프: <아시아의 PMMA 신증설 계획><중국의 MMA 생산능력(2012)><중국의 MMA 수급동향><일본의 MMA 수출동향><일본의 메타크릴수지 생산능력><일본의 MMA 수급동향>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화학] 제지화학 ②, 발효용 균주 개발로 활로 에탄올로 화학제품 생산한다! | 2025-11-21 | ||
| [EP/컴파운딩] 우레탄 ②, 일본, 감산에도 수익성 악화 자동차·주택경기 침체 “심각” | 2025-11-21 | ||
| [폴리머] 에폭시수지 ②, 일본 AI 기판용 수요 급증 스페셜티로 경쟁력 강화한다! | 2025-11-14 | ||
| [폴리머] MMA, 아시아 거래가격 변동 극심하다! | 2025-11-14 | ||
| [금속화학/실리콘] 실리콘 ②, 고부가화가 경쟁력 원천 일본, 기술개발 선도한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