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핀, 타이완 수급타이트 장기화
				
				
			| CPC, 2014년 말 No.5 크래커 폐쇄 가능성 … 정부가 재가동 미허가 
			화학뉴스 2014.07.07		 
			타이완 올레핀(Olefin) 수급이 타이트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CPC는 Kaohsiung 소재 No.5 나프타(Naphtha) 크래커를 2015년 말 폐기할 계획이었으나 환경단체 및 주민 반대 등의 영향으로 앞당겨 진행될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틸렌 수입가격이 강세를 지속하고 있어 다운스트림 생산기업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PC가 가동하고 있는 Kaohsiung 소재 No.5 에틸렌 50만톤 크래커는 환경단체 및 주민들이 공해 문제를 제기해 정부가 2015년 말까지 폐기 명령을 내렸다. No.5 크래커는 2014년 4월부터 정기보수를 실시하고 7월 재가동할 예정이었으나 소규모 사고가 발생해 8-9월 재가동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단체와 주민들의 반대가 극심하고 2016년 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유권자들의 불만을 고려해 재가동을 허가하지 않고 있어 그대로 폐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운스트림 생산기업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2014년 초부터 정기보수가 집중된 영향으로 수급이 타이트해져 가격이 강세를 지속하고 있고 CPC도 풀가동으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CPC는 2013년 No.5 크래커 대신 No.3 60만톤 크래커를 신설했으나 2012년 노후화된 구 No.3 23만톤 크래커를 폐쇄해 기존 No.4 38만5000톤, 신규 No.3 크래커에서만 석유화학 원료를 공급하고 있어 올레핀 수급이 더욱 타이트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화학저널 2014/07/07>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정밀화학] 광촉매, 한국·일본·타이완 연계 글로벌 공략 | 2025-10-28 | ||
| [석유화학] 싱가폴, 올레핀 수급타이트 장기화 | 2025-10-02 | ||
| [석유화학] 나프타, 유가‧올레핀 강세에 상승! | 2025-09-17 | ||
| [폴리머] 폴리올레핀, 일본 3사 통합한다! | 2025-09-11 | ||
| [폴리머] 알파올레핀, 자동차‧포장 개척하라! | 2025-08-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