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7일 국제유가는 리비아의 원유 수출 증가 전망 및 주요국가의 경기 둔화 우려로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WTI(서부텍사스 경질유) 선물유가는 배럴당 103.53달러로 0.53달러 하락했으며 런던석유거래소(ICE)의 브렌트유(Brent)도 0.40달러 떨어진 110.24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두바이유(Dubai)는 0.80달러 급락한 107.15달러를 형성했다.

7월7일 국제유가는 리비아의 원유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하락했다.
리비아 석유부 장관은 동부지역 Es Sider와 Ras Lanuf 항구의 원유 저장량이 즉각 수출할 수 있는 수준인 750만배럴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주요국가의 경기 둔화 우려가 제기되면서 국제유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7월10일 공개될 미국 연방준비이사회(Fed)의 FOMC 의사록에서 기준금리 인상 시점과 관련된 언급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금리 인상 시점을 전망치보다 2분기 빠른 2015년 3/4분기로 전망했다.
7월7일 발표된 독일의 5월 산업 생산지수가 1.8%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며 2012년 4월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라가르드 총재는 “세계 경제 회복세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2014년 2/4분기 세계 경제성장이 예상보다 낮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북해지역 유전 유지보수로 주요 4개 유종(BFOE)의 8월 예상 선적량이 7월 91만배럴에 비해 24% 감소한 69만5000배럴로 예상되면서 국제유가 하락폭을 제한했다. <강슬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