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 East Asia Petrochemical Industry Conference」가 5월20-21일 호텔 롯데월드에서 개최됐다. 화학저널은 「EAPIC 1999」 내용을 Ⅰ.한국, Ⅱ. 일본, ◇ SRI 세미나, Ⅲ. 대만, Ⅳ. 아시아로 구분해 편집·게재한다. 지면 제약상 Ⅲ. 대만 및 Ⅳ. 아시아는 6월21일자에 게재할 예정이다. <편집자주> 1998년 한국경제는 1997년 금융위기 여파로 어려운 한해였다. IMF 한파로 제조업의 가동률은 떨어지고 민간소비는 위축되었으며 금융·기업·공공부문 등 경제전반에 걸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추진돼 많은 실업자가 발생했다. 이에따라 경제성장은 후퇴하고, 18년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으며, 1인당 국민소득도 환율급락에 따라 3000달러 이상 감소하는 고통을 경험했다. 한국경제 1998년 국내총생산(실질 기준)은 외환위기 영향으로 소비, 투자 등이 급속히 위축되고 수출증가도 둔화돼 1997년대비 5.8% 감소했다. 특히, 제조업 부문에서는 기업 도산과 민간소비 위축으로 경공업 가동률이 크게 낮아졌고, 중화학도 반도체, 선박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부진을 면치 못해 전체 생산이 7.2% 감소했다. 수요 측면에서는 민간소비는 승용차, 가전제품, 의류 및 신발 등에 대한 가계지출이 9.6%, 제조업의 설비투자는 크게 위축되어 38.5% 감소했다. 1999년에도 한국경제 여건은 여전히 밝지 못한 실정이다. 호황을 보였던 유럽 등 선진국 경제가 저성장으로 돌아서고 이는 다시 개도국을 포함한 치열한 수출경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러시아 및 중남미의 경제위기 심화 등 불안요소도 상존하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기업의 본격적인 구조조정으로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고, 위축된 소비심리도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려우며, 특히 최근 2년간 설비투자의 급속한 위축으로 실물경제의 빠른 호전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표, 그래프 : | 한국의 주요 경제지표 | 주요 석유화학제품 수급추이 | 나프타 수급동향 | 석유화학용 나프타 공급추이 | 석유화학 수급동향 | 석유화학제품 신증설 현황 | 올레핀 수급동향 | 에틸렌 수요구성비(1998) | 프로필렌 수요구성비(1998) | Aromatic 수급동향 | 벤젠 수요구성비(1998) | 폴리올레핀 수급동향 | Styrenics 수급동향 | PVC/VCM 수급동향 | 합섬원료 수급동향 | 한국의 Polyester 수출동향 | 한국의 나일론 수출동향 | 합성고무 수급동향 | Chemicals 수급동향 | <화학저널 1999/6/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LLDPE, 동아시아‧인디아 양극화 | 2021-08-23 | ||
[화학물류] 화성, 동아시아 위험물 물류센터로… | 2017-05-19 | ||
[합성섬유] MEG, 동아시아 “공급담합” 확실 | 2013-04-1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LiBS, 동아시아 투자 경쟁 “과열” | 2017-06-16 | ||
[석유정제] 석유정제, 동아시아도 구조개편 회오리에… | 2013-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