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기업, 기술 강소기업 주목하라!
|
전략적 구조재편으로 경쟁력 키워야 … R&D는 일본․인디아 뒤쳐져 화학뉴스 2015.01.19
국내 정밀화학 시장은 M&A(인수합병)만으로는 지속성장이 불가능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월16일 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 주최로 열린 <화학산업 위기진단 및 유망사업 발굴 세미나>에서 화학경제연구원 서경선 상무는 “정밀화학 시장은 M&A만으로는 지속적인 성장이 불가능하다”며 “R&D(연구개발) 인력 및 자본의 적극적인 투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이어 “일본기업의 R&D 비중은 4%대로 한국의 R&D 투자비중 2012년 1.3%, 2013년 1.1%와 비교하면 월등히 높다”며 “특히, 국내 R&D 투자는 인디아의 1.6%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어 투자의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내 정밀화학 시장규모는 64조원 수준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의약‧화장품‧페인트 등 범용제품 시장이 70%를 장악하고 있고 기능성필름, 스페셜티 고무 등 기능성제품 시장이 30% 정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정밀화학 시장에서 아시아 집중도는 2013년 53% 수준에서 중국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62%로 확대될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국내 정밀화학 시장의 성장 가능성도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서경선 상무는 다우케미칼(Dow Chemical), JSR, 듀폰(DuPont), 3M, 머크(Merck) 등 글로벌기업들의 정밀화학 사업부문 확대에 대한 설명을 통해 “국내 화학기업들은 기술력을 보유한 강소기업과 해외에서 매각을 추진하는 강대기업과의 적극적인 접촉을 통해 전략적으로 사업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해야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을 것”이라고 국내기업들의 생존방안을 제시했다. <배정은 기자>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패키징, 친환경 규제 대응 신기술 대공개 | 2025-11-19 | ||
| [자동차소재] LG화학, EV 소재 기술 컨퍼런스 개최 | 2025-11-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건축소재] 반도체 기술 진화, 반도체 패키징용 고도화 타고 일본이 글로벌 시장 장악한다! | 2025-11-21 | ||
| [합성고무] 고무, 미래 모빌리티 맞춰 기술 혁신하라! | 2025-11-21 | ||
| [기술/특허] 화학기업, 기술 라이선스로 수익 창출한다! | 2025-11-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