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본블랙, 타이어 중심 수요 급증
중국, 2014년 신증설 22만5000톤 달해 … OCI는 2015년 8만톤 가동
화학뉴스 2015.01.20
글로벌 카본블랙(Carbon Black) 시장에서 중국의 존재감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중국의 카본블랙 생산량은 이미 세계 최고수준에 달하고 있으나 2014-2015년 신증설이 잇따라 추진되는 등 생산능력 확대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생산능력 확대에 따라 아시아지역에 중국제품 수출 공세가 한층 강화되고 있으며 일본시장에도 급속도로 유입량이 늘고 있다. ![]() 일본 카본블랙협회가 최근 발표한 카본블랙 연감 2014에 따르면, 2013년 중국 생산량은 세계 전체의 40%에 달하는 447만톤에 달했다. 글로벌 생산량 2위인 미국의 3.5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압도적인 세계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최근 자동차 생산증가와 더불어 카본블랙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2008년 934만5000대 였던 자동차 생산대수가 2013년 211만7000대까지 확대되면서 자동차 타이어에 첨가하는 카본블랙 수요도 급증하고 있으며 생산량은 2008년 이후 매년 2자릿수 성장률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카본블랙 증설계획이 잇따라 추진되고 있다. Tianjin Tokai Carbon이 생산능력 6만톤, Jiangxi Black Cat Carbon Black 8만톤, NSSM(Nippon Steel & Sumitomo Metal) 5만톤, Hubei Longxing chemical 3만5000톤 등 신증설 플랜트가 2014년 가동을 시작했거나 가동을 앞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15년에는 OCI가 8만톤, 미국 Columbian이 12만톤 가동할 예정인 등 생산능력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확대된 생산능력은 중국 내수용으로 소화될 가능성이 높은 한편으로 일부는 수출로 전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013년 중국 수출량은 72만톤으로 2011년 32만5000톤에서 2배 수준 급증했으며 처음으로 70만톤을 돌파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중국산은 아시아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시장으로 수출도 적극화하고 있다. 2013년 일본시장 점유율 타이를 제치고 처음 1위를 차지했고 2014년에도 중국산 수입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시장 점유율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표,그래프: < 중국의 카본블랙 생산동향 > <화학저널 2015/01/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자동차소재] HS효성, 친환경 타이어 소재 개발 | 2025-09-23 | ||
[자동차소재] 타이어, 전기자동차용 개발 주력 | 2025-09-02 | ||
[화학경영] HS효성, 타이어 보강재 침체에도… | 2025-08-0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합성 실리카, 타이어도 친환경이 대세 재생가능 소재 투입 확대… | 2025-10-02 | ||
[아로마틱] 카본블랙 ②, 일본, 자동차 중심으로 침체 통합·재편으로 경쟁력 강화…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