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DPE, 고기능화로 식품용 개척
SCC, 고속화 그레이드
화학뉴스 2015.01.21
Sumitomo Chemical은 즉석 면 등에 사용되는 액체포장 생산을 기존에 비해 고속화할 수 있는 고기능 PE(Polyethylene)를 개발했다.
저온 상태에서도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충진할 수 있고 밀착포장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석 면 상품이 다양해짐에 따라 액체포장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수요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Chiba 공장에서 대량 생산을 시작할 계획으로 샘플 공급을 본격화해 아시아시장 등에 수출도 확대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Sumitomo Chemical이 개발한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브랜드 메탈로센계 특수수지를 사용해 고분자구조를 정밀 제어함으로써 기존제품과 동등한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특성을 유지하면서 경합제품들이 구현하지 못하는 165℃에서도 내용물이 새지 않고 강력한 접착포장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밀착 포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과 내용물의 충진 작업을 고속화할 수 있다. 즉석 면 요리와 편의점 도시락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액체고포장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고기능 충진 기계를 도입해 생산성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고속 충진에 대한 요구는 현재 일본이 중심이지만 앞으로 해외로도 확대될 것으로 판단하고 수출 등도 고려해 사업화를 적극화할 방침이다. Sumitomo Chemical은 Chiba 공장과 싱가폴, 사우디 등 3곳에서 PE를 생산하고 있으며, 해외 공장은 범용제품과 중급 그레이드를 생산하는 한편, 코스트 경쟁력이 낮은 일본에서는 고부가가치제품 중심으로 생산구조를 전환해 수익성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마요네즈 병은 10% 수준의 박막화가 가능한 등 식품포장과 전선피폭 등에 채용이 늘어나고 있다. Chiba 공장의 생산량은 4만-5만톤 수준으로 식품, 농업, 어업, 에너지 분야 등 용도를 확대해 생산능력 7만톤 플랜트를 풀가동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저널 2015/01/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LLDPE, 인디아 4주 연속 하락했다 | 2025-10-13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9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2 | ||
[석유화학] LLDPE, 공급 홍수와 수요 절벽에.. | 2025-09-0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PI, 고기능화로 반도체·배터리 공략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