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화재료란 콘크리트 배합시 첨가되는 물, 골재, 시멘트 등 주요성분 이외의 제4성분으로 콘크리트의 제성질을 개선하거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를 말한다.혼화재료는 사용량, 재료의 작용, 효과, 사용목적 및 재료의 조성 등을 기준으로 약간 다르게 분류되는데, 우리나라 및 일본에서는 단위시멘트량에 대한 첨가량에 따라 분류한다. 단위시멘트당 3% 이상이 사용됐을 경우는 혼화재로, 3% 미만이 사용될 경우 혼화제로 구분되는데, 흔히 혼화재로 통용된다.대표적인 예로 혼화재는 고로슬래그분말, 플라이애쉬, 시멘트팽창재와 같이 다량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혼화제는 AE제, 감수제, 지연제 등과 같이 첨가제로서 소량 사용된다. 표, 그래프 : | 혼화재와 혼화제의 비교 | AE제의 품질규격 | 시멘트용 폴리머 | 감수제·AE감수제의 품질규준 | 콘크리트 성질 개선에 따른 혼화제의 종류 | 국내 콘크리트 혼화제 수요추이 | <화학저널 1993/11/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건축소재] KCC,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 성공 | 2025-08-29 | ||
[EP/컴파운딩] CFRP, 콘크리트를 친환경화한다! | 2024-11-14 | ||
[페인트/잉크] 삼화페인트, 콘크리트 탄산화 방지 | 2024-04-25 | ||
[건축소재] 콘크리트, 업사이클 소재로 대체 | 2024-04-17 | ||
[건축소재] 콘크리트, 감수제로 생산성 향상 | 202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