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기업 성장으로 국내기업 위협 …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 필요
화학뉴스 2015.11.11
김기남 삼성전자 반도체 총괄 사장이 중국의 반도체 사업 진출과 관련해 국내 반도체산업에 매우 위협적이며 앞으로 5년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향배가 갈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장인 김기남 사장은 11월1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반도체산업 위기 진단 및 대응전략> 주제로 열린 국회 신성장산업포럼에 참석했다. 김기남 사장은 축사를 통해 “국내 반도체산업에 대한 여러 가지 위기가 감지되고 있는 가운데 미래 성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특히, 중국이 정부의 절대적인 지원과 거대자본을 앞세워 반도체산업에 진출하고 있어 국내기업들에게 매우 위협적이고 성장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이라고 진단했다. 중국의 거센 추격에 대한 기민한 대비책과 신 성장사업에 선제 대응해 기술강국을 실현할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기남 사장은 “앞으로 5년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향배가 갈릴 것”이라며 “기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함과 동시에 넘볼 수 없는 새로운 원천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주소에 대한 정확한 실태 분석과 장기적이고 세밀한 발전전략이 절실하다”며 “정부의 거시적인 정책과 연구개발 지원, 국회의 통찰력 있는 인프라 구축, 학계의 체계적인 인재양성, 반도체기업의 연구개발 및 경영혁신 등 유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화학저널 2015/11/1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화학소재, 중국도 반도체용 자급화 | 2025-09-04 | ||
[아로마틱] 중국, 페놀 반덤핑관세 5년 연장 | 2025-09-03 | ||
[폴리머] 에폭시, 반도체 후공정 개척한다! | 2025-09-03 | ||
[반도체소재] JSR, 반도체 소재로 적자 탈출 | 2025-08-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반도체, 싱가폴 허브화 “경계령” | 2025-08-2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