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과산화물, 침체 장기화 …
일본, PVC용 외에는 감소세 … 고부가화에 환경대응 강화
일본 석유화학기업들이 치열한 생존경쟁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유기과산화물 생산기업들은 수요처인 합성수지 생산기업을 지원하는 형태로 고부가가치화하면서 환경대응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유기과산화물은 중합·가교·경화 등 3가지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 석유화학제품 생산에 필수적으로 투입되고 있다. 제조·운송·관리에 특수한 노하우가 필요하고 수출 및 수입이 어려워 시장이 내수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수지 등과 연관돼 수요가 형성되고 있어 어려운 환경이 계속되고 있다. 유기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의 유도제품으로 과산화수소의 수소원자를 유기분자로 치환한 구조이며 분자 안에 과산화결합(O-O)을 보유하고 있다. 표, 그래프: <일본의 유기과산화물 관련제품 생산동향> <화학저널 2015년 12월 14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동성케미컬, 유기과산화물 증설 완료 | 2025-09-30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성장‧수익성 모두 “침체” | 2025-09-11 | ||
[페인트/잉크] 노루페인트, 건설용 페인트 침체로… | 2025-08-19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중국 경제 침체로 하락 | 2025-08-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일본, 스페셜티로 침체 극복한다!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