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는 2020년경 발전단가가 화력발전에 비해 저렴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5월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조직인 원자력기구(NEA)에 따르면, 2020년을 기준으로 육상풍력의 평균 균등화전력비용(LCOE: Levelised Costs of Electricity)이 화력발전소에 비해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균등화전력비용은 발전소 건설부터 운영, 폐쇄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전체 비용을 총 발전량으로 나눈 것으로 발전소의 전기 생산비용을 의미하는 지표이다.
NEA는 22개국을 대상으로 2020년 상업가동하는 181개 발전소의 평균 균등화전력비용을 에너지원별로 비교 분석했다. 발전소 운영부터 폐쇄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만큼 2020년의 미래 화폐가치를 2015년 기준으로 환산(할인율 적용)했다.
할인율을 3% 적용하면 육상풍력의 평균 균등화전력비용은 MWh당 74.7달러로 76.3달러인 석탄발전소에 비해 낮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원자력이 47.4달러로 가장 낮고 육상풍력과 석탄, 천연가스(98.3달러), 태양광(121.6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육상풍력이 석탄이나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화석연료 발전소보다 더 저렴하게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할인율 7%를 가정하면 육상풍력의 평균 균등화전력비용은 96.7달러로 87달러인 석탄발전소보다는 높지만 천연가스(102.6달러)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재생에너지는 친환경적이지만 석탄 등 화력발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이 보급 확대에 걸림돌이 돼 왔다.
그러나 각국이 친환경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각종 장려정책을 펼치면서 발전단가가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반면, 석탄 등 화석연료 발전소의 발전단가는 상승하면서 2020년 신재생에너지와 기존 화석에너지의 발전단가가 같아지는 그리드 패리티(Grid-Parity)가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NEA의 분석에는 송전선로 건설비가 포함되지 않은 만큼 대규모 송전선로가 필요한 석탄이나 원자력발전소의 실제 발전단가는 더 높을 것으로 파악된다.
태양광발전소의 발전단가도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
태양광발전소의 평균 균등화발전비용은 2015년(2010년 예측치) 200달러가 넘어 원자력, 석탄 등에 비해 경제성이 크게 떨어졌지만 2020년에는 격차가 대폭 축소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에너지산업 관계자는 “3-4년 안에 그리드 패리티가 실현되면 본격적인 신재생에너지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정부는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맞추어 현재의 석탄 위주 전원 믹스를 저탄소 위주의 에너지원으로 바꾸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