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에너지(대표 황은연)가 연료전지 사업을 축소할 것이라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연료전지 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에너지 보급을 위한 정부의 핵심과제 가운데 하나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국내 연료전지 시장의 80-90%를 장악하고 있으며 전국 20개 발전소에 설치된 발전용 연료전지(MCFC)를 통해 154.2MW/h를 생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 사업을 축소하면 시장에 파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 측은 연료전지 사업 축소설이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하고 있으나 2015년 하반기 정부로부터 연료전지 발전을 허가받은 관련기업들과 계약을 진행하지 않으면서 사업 축소설이 확산되고 있다.
발전 관계자는 “포스코에너지는 연료전지 관련 신규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포스코에너지로부터 연료전지를 공급받기를 원하는 발전기업과도 계약을 진행하지 않는 것은 사실상 사업을 축소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윤성원 포스코에너지 그룹장(홍보·CSR 부문)은 “노을그린에너지 연료전지 발전소에 연료전지를 공급할 예정”이라며 “포스코에너지는 연료전지 사업을 축소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어 “계약 문제는 연료전지 사업과 별개의 사안”이라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해당기업들이 반드시 포스코에너지로부터 연료전지를 공급받아야 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는 만큼 다수의 발전기업이 포스코에너지의 사업 축소를 우려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 사업을 축소하면 즉각 대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과 장영빈 사무관은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 사업을 축소한다는 정황이 사실로 판명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