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NS(Mitsui Chemicals & SKC Polyurethane)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플랜트 신규 건설을 추진한다.
MCNS는 해외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공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하고 유력한 후보지로서 이란, 러시아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CNS는 2015년 7월 SKC와 Mitsui Chemicals(MCC)이 각각 50%씩 투자해 출범했으며, 자산규모가 11억달러에 달하고 연간 72만톤의 화학제품을 생산해 15억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MCNS는 폴리우레탄 시스템하우스 사업을 통해 아시아, 유럽, 미국 등 세계 각국으로 진출하고 있다.
폴리우레탄은 자동차의 시트나 충격완화 장치 쿠션, 범퍼, 천장, 핸드커버 등에 사용되는 원료로 자동차 산업과 함께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MCNS는 자동차 시장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이란, 러시아 등으로의 진출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서방국가들의 경제재제가 해제됐고 완성차기업과의 직접적인 계약 관계없이도 이미 자동차 내수가 활성화돼 있는 이란시장 진출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란은 SAIPA와 Khodro 등 2개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연간 109만대(2014년 기준)의 완성차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과는 경제제재 이전 400만달러, 제재 이후 250만달러 상당의 자동차부품을 거래했다.
SAIPA는 기아자동차와 협력관계를 지속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현대자동차가 합작 형태로 진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hodro는 푸조(Peugeot)를 비롯한 벤츠, 르노(Renault) 등과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SKC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이 성장할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폴리우레탄 사업의 성장성도 높게 평가하고 있다”며 “이란 내수 시장이 이미 활성화 돼 있고 이란 경제제재까지 해소된 상황이어서 중동으로의 진출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