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저널 2025.08.18

FOB SE Asia 500달러에 육박 … 중국의 규제 완화 효과는 별로
요소 가격이 중동 정세의 영향으로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요소는 산업용 비료를 비롯해 공업용, 배기가스 처리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유기화학제품으로, 아시아 가격이 2025년 6월 FOB SE Asia 톤당 400달러 후반에서 7월 초 500달러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상승했다. 가격이 진정될 요인이 부족한 점을 고려할 때 상승세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이 장기간 유지하던 수출 규제를 완화하기 시작했으나 중국기업들이 중국 시장의 수급과 시황을 고려해 수출하고 있어 상승 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글로벌 요소 가격은 6월 순 수출국인 이란이 이스라엘과 전쟁에 들어가면서 급등했다.
이란은 천연가스를 원료로 투입해 낮은 코스트가 강점이었으나 전쟁의 영향으로 생산이 중단되면서 공급을 줄이고 있다.
이집트 역시 요소를 수출하고 있으나 이스라엘이 공급하는 천연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을 중단할 수밖에 없어 6월 하순 FOB ME Asia가 톤당 약 500달러를 형성했다.
이스라엘-이란 휴전 이후 이란이 생산량을 회복하고 이집트도 생산을 재개했으나 가동률이 낮은 상태에 머물러 수급이 정상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란은 7월 초에도 항만·선박 관련 혼란에서 벗어나지 못해 출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막대한 수입량으로 사실상 글로벌 시황을 주도하고 있는 인디아의 조달 정책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디아는 수요 대비 생산량이 부족해 비료용만 약 1000만톤을 수입하고 있으나 2025년에는 사용물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동을 중심으로 공급가격이 상승하면서 구매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인디아는 2025년 몬순(Monsoons) 시즌이 빠르게 찾아오면서 동남아산 조달에 나섬으로써 동남아시아 공급가격 상승을 유발해 글로벌 시황 전체를 끌어올리고 있다.
아시아의 해상운임 상승도 요소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크리스마스 시즌을 겨냥한 움직임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중국발 북미‧중남미 선복 타이트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CFR SE Asia는 FOB SE Asia에 비해 약 50달러 높아 톤당 500달러대 초‧중반에 거래되고 있다.
중국이 5월 말 수출규제 완화에 나서 쿼터를 200만톤으로 확정한 후 200만톤 추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수급타이트 완화가 예상되고 있다.
다만, 중국 정부가 수출쿼터 확대를 주도하고 있고 생산기업과 무역상에 대한 출하쿼터 할당, 수출가격 최저기준 준수를 요구하고 있어 하락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 자체 시황 및 재고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판단된다.
FOB China는 5월 말 360-370달러에서 7월 이후 440달러 이상에 거래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높은 가격대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일부에서는 수출 규제 완화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 공급 물량은 규제를 실시하던 때와 비슷한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기업들이 겨울철에 가동률이 낮아지며 글로벌 시황을 반영해 높은 가격에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시장은 비료용 요소 수요가 안정적인 편이며, 특히 애드블루(Adblue)용이 양호한 편이다.
일본은 요소 가격을 중국산 수입제품을 기준으로 결정했으나 2021년 하반기 중국의 수출 규제 이후 새로운 시스템이 정착되면서 LNG(액화천연가스)에 연동되는 포뮬러 방식으로 결정하고 있다.
생산기업 2곳이 정기보수를 앞두고 비축용 생산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글로벌 공급능력이 악화되는 가운데 일본에서도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시장은 LNG 가격은 일부 상승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안정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동 정세가 글로벌 수급 밸런스를 붕괴시키고 비수기에도 시황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요소 생산기업들은 국적을 가리지 않고 높은 가격을 부르고 있으며, 중동 지역의 출하가 안정될 때까지 비슷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는 미국·유럽용 요소 수출을 계속하고 있으나 유럽연합(EU)이 7월부터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윤우성 선임기자)
<화학저널 2025년 08월 1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