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PO(Propylene Oxide) 시장의 수출입 판도가 변화하고 있다.
일본은 2015년 Oxirane이 사업에서 철수하며 생산능력이 내수 수준으로 축소돼 매년 10만톤 이상을 유지하던 한국수출도 2016년 들어 소멸됐다.
동남아에서도 2014년 말부터 2015년까지 유도제품인 폴리올(Polyol) 플랜트의 신규건설이 진행되면서 PO 수출량이 감소했다.
아시아 각국은 부족량을 미국산으로 충당하고 있다.
일본의 PO 수출은 2013년 15만6600톤에 달했으나 2015년 5월 Oxirane이 사업에서 철수한 영향으로 8만1200톤까지 줄어들었다.
그동안 한국과 중국수출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특히 한국수출은 2013년 12만4000톤을 기록하는 등 2014년까지 10만톤 이상을 유지했으나 2015년 5만8200톤으로 축소됐다.
2015년에는 하반기 9월에만 수출이 발생했으며 총 3000톤 수출하는데 그친 것으로 파악된다. 2016년에도 1월에만 2500톤을 수출했으며 나머지 달에는 수출량이 0톤으로 소멸됐다.
동남아에서는 2014년 말부터 2015년에 걸쳐 타이, 싱가폴을 중심으로 폴리올 신규 플랜트가 완공됨에 따라 PO 수출을 줄이고 있다.
한국은 2015년부터 미국산 수입을 시작했고 싱가폴산 수입도 안정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SKC가 독점 생산하고 있으나 수요기업들이 거래처 다원화를 적극 시도하면서 수입선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은 2016년부터 미국산 수입을 늘리고 있으나 싱가폴산은 최근 수년 동안 대폭 감소했으며 타이산도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아시아 PO 생산능력은 일본 Sumitomo Chemical, Asahi Glass, Tokuyama 3사 40만톤, 한국 SKC 30만톤 이상, 중국 300만톤 수준, 타이 Dow Siam 39만톤, 싱가폴 Shell Chemicals 18만톤과 Ellba Eastern 25만톤, 인디아 Manali 3만6000톤, 사우디 PetroRabigh 20만톤이다.
중국은 내수를 충당할 수 있을 만큼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설비 트러블이 잦고 정기보수가 진행되고 있어 수급타이트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또 원료 프로필렌(Propylene)을 제조하는 PDH(Propane Dehydrogenation) 설비의 가동중단 등으로 수급타이트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에는 2/4분기 타이, 7-8월 싱가폴에서 45일 동안 정기보수가 진행됐다.
중국 Jilin Shenhua는 3월 30만톤 플랜트의 정기보수에 돌입했으나 설비 개조 등에 시간이 걸리며 여전히 가동을 재개하지 못하고 있다.
아시아 PO 가격은 1월 중순 톤당 1000달러대가 붕괴된 후 다시 1000달러 전후 수준으로 올라섰으나 수급이 타이트해지며 7월 하순 1200달러대로 반등하고 최근에는 1100-1200달러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