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인구 100명 가운데 15명 가량이 고독성물질 노출 위험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은 10월10일 금강유역환경청에서 열린 지방 환경청 대상 국감에서 「발암물질 전국지도」 보고서를 발표하고 정부의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발암물질 등 고독성물질 배출 사업장 반경 1.6km 이내에 거주하는 충청권 주민은 77만 2102명으로 전체 인구의 15%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고독성물질 취급 사업장은 경부선 철도와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밀집해 있으며 전체 1314개 사업장 가운데 447개(34%)가 수도권에, 488개(37%)는 경상권에 집중돼 있다.
충청권에는 15%에 해당하는 201개가 있으며 천안·아산·당진 등 충남 서북부와 충북 음성·증평·진천, 대전 대덕구를 중심으로 사업장이 밀집해 있다.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및 화학물질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화평법)을 통해 고독성물질 배출량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저감 대책은 마련되지 않아 노동자와 주민들의 잠재적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충청권에서 가장 많이 배출된 발암물질은 1,3-부타디엔(Butadiene)과 이염화메탄(Dichloromethane)이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가 1급 발암성물질로 규정한 1,3-부타디엔은 충남에서 가장 많이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LG화학, 한화토탈, 롯데케미칼 대산공장이 연간 1만2067톤 가량 배출하고 있어 배출량 2위인 전라남도 17개 사업장의 1603톤보다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벤젠(Benzene)은 서산단지에 입주에 있는 한화토탈 등에 따라 배출량이 3번째로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2급 발암성물질인 이염화메탄 배출량은 충북이 압도적이다.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오창공장, SK이노베이션 증평공장,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 등 충북 17개 사업장에서 1178.444톤이 배출되고 있으며 2위인 경북(7개 사업장 608.016톤)과 2배 가량 차이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