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화장품 산업은 최근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이 한국산 수입을 무더기 불허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드 보복이 본격화됐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16년 화장품 수출액은 4조3000억원 전년대비 37.5%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 수출액은 2015년까지 매년 2배 가량 폭증했으며 2016년 10월 중국 당국이 내수 진작을 위해 고급색조화장품에 대한 소비세를 30%에서 15%로 인하하면서 직접 진출하거나 수출 주력인 국내기업들에 호재로 작용될 것으로 기대된 바 있다.
그러나 사드 부지 선정과 한국-일본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에 반발한 중국 정부가 각 방송국에 비공식적으로 한류스타 출연 제한을 통보해 한류 마케팅 효과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화장품 산업은 내수보다 수출로 성장해왔으며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 중화권 수출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업계 전반에 타격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수출비중이 41.1%으로 전년대비 11.5% 증가했으며 홍콩과 타이완을 포함하면 중화권 비중이 70.45%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중국이 2016년 말부터 비관세장벽을 강화하고 있어 화장품기업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으며, 중소‧중견기업들은 일반화장품 등록증 취득과 기능성화장품 위생허가 절차가 까다로워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중국은 2016년 12월부터 화장품의 품질 안전성을 높인다는 이유로 신규 화장품 안전기술규범을 실시하고 납·비소·카드뮴 함유량 제한을 강화했으며 기능성 입증서류 기준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국 정부가 발표한 「품질안전 불합격 화장품 명단 28개」 가운데 한국산이 19개 포함된 것과 관련해 1월13일 한국-중국 FTA 공동위에 공식안건으로 상정할지 논의하고 있다고 1월11일 밝혔으나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어서 문제를 제기하는 수준에서 그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