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한계기업의 취약성이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신종순 아시아‧태평양 지역 선임이코노미스트는 2월6일 「기업구조조정과 거시경제적 영향」 조사보고서에서 국내 기업부문은 전체적으로는 건전하지만 조선, 해운, 석유화학, 철강, 건설 업종의 한계기업들은 취약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기업들은 글로벌 무역 부진 및 중국 등 신흥국과의 경쟁 고조로 2010년 이후 수익성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한계기업들은 수익이 급속히 떨어지는 가운데 차입을 계속 늘려 취약성이 크게 고조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본기업들이 2010년부터 수익성을 회복하고 차입비율을 낮추어온 것과 대조적이며 구조조정이 1년의 시차를 두고 실질경제성장률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고용시장에는 단기적으로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적절한 사회안전망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내 구조조정 진척상황은 기대보다 느린 편이며 최근에서야 시작된 것으로 지적된다.
경기민감업종으로 산업 전반이 취약했던 해운·조선 부문은 조선 3사가 비핵심부문 자산매각, 기업재정비, 사업규모 축소 등을 포함한 10조3000억원 상당의 자구책을 마련했고 주요 해운기업들도 채권자들과 채무조정 등에 합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공급과잉 문제에 직면해 있는 석유화학 시장에서는 인수합병(M&A) 및 다운사이징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석유화학기업은 3년 동안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7.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산업연구원의 「한계기업 비중 확대와 생산성 둔화」 보고서에 따르면, 의약품을 제외한 화학제품 생산기업 가운데 성장이 어렵다고 평가된 곳은 2011년 4.8%에서 2015년 7.2%로 늘었다.
보고서는 구조조정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금융당국의 역할과 위험·비용을 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 및 재정정책, 금융기관의 건전성과 신용위험 관리, 확실한 가이드라인과 제도적 틀, 시장 인프라 등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