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로(대표 박승언)는 아시아 CPL(Caprolactam) 가격이 급등세를 지속함에 따라 수익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CPL 현물 거래가격은 수급타이트 심화와 조원료 벤젠(Benzene) 급등 영향으로 2016년 12월 톤당 1500달러 수준이었으나 12월 말 1950달러까지 상승했고 2017년 1월에는 2000달러를 돌파했다.
중국 춘절 연휴 후에도 2200달러까지 치솟으며 12월 초에 비해 700달러 가량 오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1월 말에는 멕시코산이 2200달러에 거래되기도 했으며 타이완 생산기업이 2월 계약가격을 2120달러로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CPL은 벤젠 급등을 타고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벤젠은 2016년 10월 미국에서 유도제품인 SM(Styrene Monomer) 생산설비 트러블이 잇달아 발생하며 역내 수요가 급증했을 뿐만 아니라 11월 말 OPEC(석유수출국기구)의 감산 합의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까지 더해지면서 2016년 12월 900달러대를 돌파했으며 2017년 초에도 급등세가 이어지며 1000달러를 형성했다.
아울러 수급타이트까지 겹치며 CPL-벤젠 스프레드가 대폭 확대되고 있다.
카프로는 CPL 생산능력이 27만톤 가운데 채산성 악화로 No.3 15만톤만을 가동했으나 중국이 수입을 재개함에 따라 채산성 악화로 가동을 중단하고 있던 No.2 6만톤 플랜트를 재가동하기로 결정했다.
중국은 2016년 4월 2년만에 CPL 수입을 재개했으며 한국산 수입량은 수입 재개 직후 304톤에 불과했으나 8월 3600톤으로 10배 이상으로 급증했고 연간 수입량은 9584톤으로 1203.9%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프로는 중국이 환경규제 강화, 원료 생산 및 유틸리티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석탄의 수급타이트 심화, 원료 부족 등으로 CPL 가동률을 올리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Fibrant가 2016년 10월 미국 25만톤 플랜트의 생산을 종료함에 따라 중국 수입시장을 장악하던 미국산 유입이 줄어 수출 호조를 지속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중국 Hengyi Petrochemical이 2016년 11월 자체 중합설비를 구축하고 외부판매를 줄인 것도 아시아 수급타이트를 부추기고 있어 수혜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Sinopec은 12월 CPL 거래가격을 1만6350위안으로 전월대비 3850위안 인상한데 이어 1월과 2월에도 각각 1만7800위안, 1만9000위안으로 올렸다.
Sinopec은 벤젠도 1월 8100위안으로 700위안 인상했으며 2월에는 2번의 협상을 거쳐 8800위안까지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다운스트림인 PA(Polyamide) 칩은 2016년 12월 1750-2180달러, 2017년 1월 2200-2300달러로 CPL 급등세를 반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2250-2350달러에 계약이 성사되고 있으며 2400달러를 제시한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