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Phthalic Anhydride) 및 DOP(Dioctyl Phthalate) 체인은 폭락세로 전환됐다.
아시아 옥소알콜(Oxo-Alcohol 시장은 중국이 가소제를 자급자족 체제로 전환함에 따라 공급과잉이 심화되고 있다.
반면, 동남아시아는 수요가 안정되면서 폭등세를 나타냈다.

PA 가격은 3월17일 FOB Korea 톤당 940달러로 50달러 폭락한 반면 CFR SE Asia는 1100달러로 55달러 폭등했다. DOP 역시 CFR China는 950달러로 60달러 폭락한 반면 CFR SEA는 1150달러로 50달러 급등했다.
PA는 중국 내수가격이 톤당 7000위안으로 400위안 급락해 수입가격 기준 804달러 머무르는 등 중국 재고가 높은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폭락했으나 동남아시아는 인디아 수요가 호조를 나타냄에 따라 초강세를 형성했다.
DOP 역시 중국 내수가격이 8200위안으로 수입가격 기준 944달러에 머무르고 2-EH(Ethylhexanol) 강세로 원료코스트까지 상승해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반면, 동남아시아는 2-EH 생산능력이 작고 정기보수에 들어감으로써 폭등이 불가피했다.
NBA(n-Butanol)는 CFR China 740달러로 20달러, CFR SEA 역시 750달러로 20달러 하락했다.
원료 프로필렌(Propylene)이 약세로 전환된 가운데 중국의 NBA 내수가격이 6400위안으로 200위안 하락해 수입가격 기준 741달러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2-EH는 CFR China 1005달러로 20달러, CFR SEA도 1025달러로 25달러 하락했다.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프로필렌이 약세를 계속하고 있기 때문으로, 정기보수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를 막지 못했다. 일본 KH NeoChem은 리액터 문제로 3월10일 Yokkaichi 소재 Oxo 플랜트를 가동중단한 후 3월15일부터 정기보수에 들어갔다. 생산능력은 NBA 3만톤, 2-EH 12만톤, Iso-Butanol 1만3000톤이다.
Mitsubishi Chemical도 4-5월 Mizushima 소재 Oxo 25만톤 플랜트를 정기보수할 계획이다. 생산능력은 2-EH 15만톤, NBA 10만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