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ijin이 고기능 폴리에스터(Polyester) 공급을 강화하고 있다.
폴리에스터 수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이 일반적이지만 Teijin은 PEN(Polyethylene Naphthalate)과 PBN(Polybutylene Naphthalate) 등 고기능제품을 중심으로 제안을 확대하고 있다.
Matsuyama 소재 생산설비에서 PET와 동일설비를 사용해 상업생산하고 있으며 PEN은 의약품 용기, PBN은 습동부품 용도를 주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PEN은 결정화가 느리고 투명성을 보유하고 있어 PET, PC(Polycarbonate), COC(Cyclo-Olefin Copolymer), 투명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과 경쟁하고 있다.
Teijin은 PEN을 수지 뿐만 아니라 필름, 섬유로도 제조해 판매하고 있으며 수지는 비식품용 용기 수요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의약품 용기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 의약품 용기는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유리제품에서 수지제품으로 교체하려는 니즈가 확산됨에 따라 COC, COP(Cyclo-Olefin Polymer)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양 수지는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은 반면 산소 배리어성은 약하기 때문에 반드시 EVOH(Ethylene Vinyl Alcohol) 필름 등과 함께 사용해야 해 번거롭다는 단점이 지적돼왔다.
하지만, PEN은 수증기와 산소에 대한 배리어성이 모두 양호해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Teijin은 앞으로 PEN의 폴리머 성능을 개선함으로써 배리어성을 더욱 향상시킬 예정이며 수요처의 니즈에 맞추어 다른 배리어 소재와 조합해 제안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사출성형용은 내약품성, 저용출성을 인정받으며 급식용기 등을 중심으로 안정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밖에 가전제품 분야에서는 투명제품에 투입되고 있으며 세탁기 등 내약품성이 중요한 분야에서도 채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BN은 PEN과 달리 결정화가 빠르고 불투명해 습동부품 용도가 주력시장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반도체, 액정 제조장치의 공정부품에 주로 투입되고 있으며 우수한 내마모성을 활용해 부품의 장수명화, 오염 억제 등에 기여하고 있다.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관련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저용출성이 좋은 평가를 받으며 기어 등에서 채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POM(Polyacetal) 대체도 이루어지고 있다.
Teijin은 PBN의 내마모성이 PEEK(Polyether Ether Ketone)보다 뛰어나다는 점을 활용해 PEEK 대체도 제안할 방침이다.
다만, 아직까지 주력시장인 습동용에서도 인지도가 낮고 수요기업들은 우선 POM을 실험하고 다음 후보로 PPS(Polyphenylene Sulfide), PEEK를 선택하는 곳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제안을 확대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