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정부가 주도해 환경대책에 나서 화학 공장의 생산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최근 환경보호부가 중국 15개 지역에 특별조사팀을 파견함에 따라 해당지역 화학공장의 가동중단이 불가피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공장 단지의 사용 가이드라인을 새롭게 마련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어 사업재편과 도태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해당 지역에는 정밀화학제품 공장이 집중해 있어 공급부족이 우려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각국 정상회담 및 대형 행사 등이 실시될 때마다 환경대책 일환으로서 개최지 및 주변 화학공장의 생산을 강제적으로 규제해왔다.
그러나 규제를 실시해도 불법으로 가동을 지속하는 사업자가 있었으며 규제가 해제되면 진정됐던 환경오염이 다시 심각해지는 사태가 계속 반복돼왔기 때문에 특별팀을 배치해 4월부터 전국적인 단속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대상지역은 Hunan, Anhui, Guizhou, Shichuan, Shanxi, Shandong, Hainan, Liaoning, Jilin, Zhejiang, Fujian, Qinghai, Xinjiang Uygur 자치구, Tibet 자치구, Tianjin 등 15개 지역이다.
조사 시작 시기는 지역마다 상이하고 이미 조업을 제한받고 있거나 중단한 화학기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규제 해제시기가 불투명해 폐수처리 시설 등 환경대책을 강구하지 않았던 곳이 공장을 폐쇄하고 자금부족에 따른 도태 및 재편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