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생분해성 수지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Boda Dongfang은 Jilin에서 이산화탄소(CO2)와 PO(Propylene Oxide)를 원료로 취하는 PPC(Polypropylene Carbonate) 상업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Jilin 화학산업단지 18만평방미터 부지에 총 30억위안(약 5000억원)을 투입해 30만톤 플랜트를 구축할 방침이며 착공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PPC는 최근 고조되고 있는 환경의식과 중국 정부의 환경규제 강화로 수요가 신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Boda Dongfang은 PPC 제조 프로세스로 중국과학원이 개발한 3세대 합성기술을 채용했으며 농업용 필름, 비닐봉투, 택배 포장소재, 식품 포장소재, 쓰레기봉투 등 광범위한 용도로 공급할 계획이다.
중국에서는 플래스틱 가공제품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 Jilin, Gansusheng 등에서 PE(Polyethylene) 백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농업용 필름 역시 토양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신장위구르 자치구 등에서 사용금지 조치를 내리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도 생분해성 수지 수요가 신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Boda Dongfang은 글로벌 생분해성 수지 시장규모가 2020년 약 8000억위안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중국이 4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분해성 외에 배리어성, 방수성이 뛰어나고 투명도, 강도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CO2를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생분해성 수지에 비해 코스트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판단 아래 PPC를 선택한 것으로 파악된다.
Jilin 화학산업단지도 전반적으로 고부가가치형 유도제품 전환을 지향하고 있어 PPC 상업화가 PO 유효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적극 협력하고 있다.
Boda Dongfang은 부동산 개발, 친환경 농업, 바이오테크놀로지, 건강식품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최근 친환경성을 극대화한 사업에 주력하고 있어 PPC 프로젝트도 해당 일환으로 파악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