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12일 국제유가는 러시아의 감산정책 지지 발언, 미국 달러화 약세 등으로 상승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WTI(서부텍사스 경질유) 선물유가는 배럴당 64.30달러로 전일대비 0.50달러 상승했으며, 런던석유거래소(ICE)의 브렌트유(Brent)도 0.61달러 올라 69.8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반면, 두바이유(Dubai)는 0.21달러 하락하며 66.29달러를 형성했다.

1월12일 국제유가는 러시아의 감산정책 지지 발언의 영향으로 상승했다.
로이터(Reuters)에 따르면, 러시아 Alexander Novak 에너지부 장관이 석유 수급이 재균형에 도달하지 않아 공급을 더 축소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해 감산 참여국들이 출구 정책을 택할 것이라는 우려가 완화됐다.
다만, 감산 참여국들은 1월21일 오만에서 개최될 모니터링 위원회에서 석유시장 수급 상황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 달러화 약세도 국제유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미국 달러화 인덱스는 90.97로 전일대비 0.96% 하락했다.
반면, 미국의 원유 시추리그 수 증가 및 원유 생산 증가 전망은 국제유가 상승폭을 제한했다.
Baker Hughes에 따르면, 미국은 1월12일 기준 원유 시추리그 수가 752기로 전주대비 10기 늘어나며 2017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미국 에너지부는 원유 생산량이 수주 안에 1000만배럴을 기록하고 2019년 1100만배럴을 달성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IEA(국제에너지기구)의 Faith Birol 사무총장은 국제유가가 65-70달러대를 유지하면 미국 셰일오일(Shale Oil) 생산자들이 과잉 공급을 장려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