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소산업에 활용가치가 높은 담수세균이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효소산업에 활용가치가 높은 담수세균 254균주를 발견하고 다당류 분해 등 14종류의 효소활성 평가 정보를 최근 확보했다고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이 낙동강, 섬진강 등에서 채집한 국내 담수세균 1112균주를 대상으로 2017년부터 10개월 동안 지방 분해 등 14종류의 효소활성 여부를 평가했으며 리시니바실러스 푸시포미스(Lysinibacillus Fusiformis) 등 108균주가 지방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것을 규명했다.
또 플라보박테리움 레이첸바치(Flavobacterium Reichenbachi) 등 89균주는 전분분해 효소를, 잔티노박테리움 리비듐(Janthinobacterium Lividum) 등 68균주는 단백질분해 효소를, 페도박터 아그리(Pedobacter Agri) 등 64균주는 비전분다당류(식이섬유)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페니바실러스 툰드래(Paenibacillus Tundrae) 외 47균주는 글루카네이즈(Glucanase), 자일란아제(Xylanase), 아라비노자일란아제(Arabinoxylanase), 커들란아제(Curdlanase) 등 4종 이상의 비전분다당류 분해 효소활성 능력을 보였다.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균주는 전분, 비전분 다당류 분해 등 11종류의 효소활성을 갖고 있으며 낙동강에서 분리된 바실러스 토요엔시스(Bacillus Toyonensis)는 키토산 분해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욱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연구본부장은 “효소활성 평가는 국내 담수생물자원의 산업적 가치를 부여하는 일”이라며 “평가 결과의 제공으로 국내 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