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산업은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고용이 침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6월25일 발간한 지역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72개 제조업 가운데 59%가 4차 산업혁명으로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고용이 늘어날 것이라고 답한 제고업은 15.4%에, 영향이 없을 것이란 곳은 25.6%에 머물렀다.
산업별로는 석유화학·정제기업의 71.4%, 자동차 68.4%, 철강은 62.5%가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정보기술(IT)은 고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한 곳이 46.2%로 감소라고 답한 곳(19.2%)보다 많았다.
고용 감소를 예상한 곳들은 61.8%가 정규직·풀타임에서, 38.2%는 계약직·임시직·일용직에서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곳은 64.4%로 조사됐으며 50.4%는 어느 정도 알고 있다, 14.0%는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반대로, 들어보았다는 정도로 아는 곳은 33.8%, 전혀 모른다는 1.8%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이 각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57.9%가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중요하지 않다는 28.4%, 잘 모르겠다는 13.7% 순이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각 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판단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곳의 69.7%, 들어보았다고 응답한 곳의 38.0%가 4차 산업혁명 영향이 중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들은 긍정적 영향으로 생산성 향상(26.1%), 생산비용 절감(23.3%) 등을 들었고 부정적 영향으로는 신규투자 관련 비용 증가(39.0%), 경쟁 심화와 수익성 악화(20.2%) 등을 꼽았다.
4차 산업혁명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곳들 가운데 25.6%는 이미 대응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으며 대응 계획 수립 후 실행 직전단계인 곳도 12.2%로 나타났다.
아직 대응 절차를 밟지 않는 곳은 18.6%였다.
4차 산업혁명 중요성 인식기업 가운데 이미 대응하고 있거나 대응계획을 수립한 곳은 자동차 52.6%, 석유화학·정제 50.0%, IT 42.3% 등이었다.
철강(12.5%), 조선(33.3%), 기계장비(31.3%) 분야는 비중이 절반을 넘지 못해 대응이 뒤처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곳들은 대응과제로 생산공정 혁신(26.2%), 'IT 등 관련 인프라 투자(22.8%), 내부직원 기술교육(14.6%) 등을 주로 제시했다.
이미 도입한 관련 기술은 로봇(37.3%), 스마트팩토리(32.8%), 빅데이터(28.6%), 사물인터넷(21.0%)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기업들의 29.9%는 4차 산업혁명 대응에서 기술역량 부족을 애로사항으로 꼽았으며 핵심인력 확보 애로(21.3%), 국내 인프라 부족(17.5%)도 뒤를 이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