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생산기업들이 안티에이징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에 맞춰 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기능성 화장품 상표 출원을 확대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화장품 분야에서 바이오, 셀(Cell), 더마, 메디, 닥터 문자를 포함한 바이오 관련 상표가 최근 5년간(2013-2017년) 6407건 출원돼 2008-2012년 2484건에 비해 2.57배 증가했다.
화장품 전체 출원 중 바이오 관련상표 비율도 2013년 5.7%, 2014년 6.6%, 2015년 6.6%, 2016년 7.8%, 2017년 8.3%로 계속 높아졌다.
2008-2017년 10년간 바이오 관련상표 출원비중은 셀이 들어간 상표가 2228건으로 가장 많았다. 세포재생 성분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와 셀트리온, 셀더마 등 화장품 브랜드의 출시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닥터 1862건, 바이오 1451건, 랩 1404건, 메디 873건, 더마 871건, 나노 202건 순이었다.
LG생활건강이 10년간 모두 373건을 출원해 가장 많았고 아모레퍼시픽(319건), 해브앤비(134건), 엘앤피코스메틱(62건), 에이피알(60건), 셀트리온(58건), 코리아나화장품(52건), 비오템(45건), 제닉(44건), 셀트리온스킨큐어(40건의 순이었다.
10대 출원순위 중 9곳이 국내기업이고 10년간 내국인 출원건수는 7454건, 외국인은 911건으로 10건 중 9건이 내국인 출원이었다.
내국인 출원건수는 2008년 307건에서 2017년 1518건으로 394% 급증한 반면 외국인은 88건에서 108건으로 22% 증가하는데 그쳤다.
국내 화장품 수출액은 2017년 6조원에 달했고 K뷰티 인기에 힘입어 2015년 이후 매년 100% 이상 성장하고 있기 때문으로, 바이오 상표를 선점하려는 국내기업들의 경쟁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바이오 상표로 소비자를 현혹할 뿐 별 효과가 없는 화장품이 난무하고 있어 바이오 상표 등록에 신중을 기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