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리튬은 글로벌 가격이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이 전기자동차(EV) 보급 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배터리 생산기업에 대해서는 보조금을 삭감함에 따라 LiB(리튬이온배터리) 생산이 일시적으로 정체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오스트레일리아가 신규 리튬 생산에 돌입한 것도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kg당 10달러 전반 수준을 형성하며 연초에 비해 10달러 가까이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 중국 LiB 생산이 회복될 가능성은 있으나 리튬 신규생산 계획도 잇따라 예정돼 있어 가격을 상승세로 전환시킬 만한 요인은 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탄산리튬은 2014년부터 LiB 탑재 EV에 대해 중국 정부가 보조금을 지원함에 따라 수요가 급증했으며, 한때 북미‧중남미의 3대 메이저가 풀가동해도 수요 신장에 대응하기 어려울 정도로 수급이 급격한 타이트 상태를 나타낸 바 있다.
2016년 봄에는 중국 현물거래 가격이 30달러대로 평상시의 5-6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폭등한 바 있다.
이후 보조금 대상이 국영 메이저로 한정되면서 폭등세가 가라앉았으나 다른 국가들도 EV 보급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2018년 초까지도 25달러 강세를 유지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2017년에 이어 2018년에도 보조금을 삭감하면서 LiB 생산이 정체된 상태이고 양극재에 사용하는 탄산리튬 구매도 감소해 수급타이트가 해소됐다.
여기에 오스트레일리아가 광석 베이스 리튬 신규생산을 예정대로 추진한 것도 가격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따라서 10달러대까지 하락한 상태이며 15달러 수준을 형성하고 있는 수산화리튬과의 가격 차이도 상당히 벌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은 현재 LiB 신증설 계획이 다수 연기된 상태이나 중장기적으로는 EV 보급을 촉진하는 정책 방향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탄산리튬 거래가 다시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다만, 탄산리튬 신증설 계획도 잇따라 예정돼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희박하며 상황에 따라서는 하락세를 계속 이어갈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