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타이 생산기업 HellermannTyton이 결속 시스템 시장 개척을 추진한다.
경량화, 내부식성 향상 관점에서 금속 대체수요를 확보함과 동시에 작업부담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독자적인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시장규모를 확대하고 금속탐지기로 감지할 수 있는 Metal Content 시리즈에 대한 기술 노하우를 활용해 인프라, 화학 플랜트 등 신규 분야에서 잠재수요를 적극 발굴할 방침이다.
HellermannTyton은 12개국에서 공장을 가동하고 있는 글로벌기업으로 일본법인은 연구개발부터 금형 제조, 설계, 제조, 물류, 품질보증 부문을 모두 배치한 Hyogo 공장을 중심으로 원스톱(One-stop) 체제를 활용한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소재 선정‧개발부터 일괄적으로 구축한 연구개발 시스템을 바탕으로 식별제품, 결속공구, 배선 고정도구, 보호‧절연제품 등을 다양하게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Insulok」은 케이블타이의 대명사로 자리 잡고 있다.
플래스틱 소재는 PA(Polyamide) 66을 포함한 PA를 시작으로 불소수지(Fluororesin), PP(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외에 POM(Polyacetal), PEEK(Polyether Ether Ketone) 등 폭넓은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PA11 베이스 케이블타이인 GalvaLok 브랜드가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가대부분용으로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바람에 따라 가대 아랫부분에 염화칼슘 등이 쌓이기 쉽고 아연도금강판은 아연이 염분과 반응해 염화아연으로 변화하게 된다.
PA66은 염화아연에 따라 화학적 균열이 발생해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HellermannTyton은 PA11을 채용함으로써 실용 가능한 수명을 실현했다.
식품, 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Metal Content 시리즈는 금속검출기에 반응하는 철 성분을 포함한 플래스틱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영국거점에서 소재기술을 도입해 일본에서 개량했으며 철 성분을 함유하면서도 유연성을 보유하고 있어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부러지지 않고 녹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살균제, 세정제 등 산성 및 알칼리성 용제에 강한 내약품 그레이드, 항균, 곰팡이 방지, 바이러스 비활성화, 이끼 방지 효과를 보유한 곰팡이 방지 항균 타입 등을 상품화하고 있다.
독자적으로 개발한 Fir Tree Mount도 제안을 강화하고 있다.
패널 등에 고정하는 부위가 전나무 형태인 Fir Tree Mount는 부착구멍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되는 똑딱단추 타입의 간편한 고정구로 건설기계 등에서는 채용에 따라 볼트, 너트 등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한 등 다양한 이점이 있어 기존 고정방법을 대체하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신규용도 개척은 다양한 소재기술 및 설계기술을 바탕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인프라 분야에서는 길 가장자리 구역에 부설하는 배선용도, 터널 천정의 잠금쇠 등, 화학 플랜트 분야에서는 밸브 수지화 등을 상정하고 있으며 실제 사용환경을 고려해 소재 및 구조설계를 연구개발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