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단지를 비롯해 울산지역 5개 산업단지에서 완충저류시설 설치 사업이 본격화된다.
울산시는 울산지역 5개 산업단지와 13개 완충저류시설 설치사업 계획과 관련해 첫 사업으로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석유화학단지) 완충저류시설 설치사업을 1월8일 착공했다.
완충저류시설은 산업단지의 사고로 발생되는 유독유출수와 오염물질이 함유된 초기 우수를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질오염 방지시설로, 1971년 조성돼 노후화된 울산 석유화학단지의 오염 방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 석유화학단지는 유해화학물질 취급량이 900만톤, 폐수 유출량이 하루 10만톤에 달하고 있으나 사고수, 유출수, 비점오염 등에 대한 안전장치 없이 배수로를 통해 두왕천과 외황강으로 그대로 유출하고 있다.
울산시는 해당 단지에 대해 국비 300억원을 포함한 총 사업비 429억원을 투입함으로써 저류량 3만7000톤급 완충저류시설을 2021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완충저류시설이 설치되면 산업단지의 수질오염 사고 발생 시 오염물질을 완충저류지로 유입 처리해 두왕천과 외황강 오염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비점오염원이 많이 함유된 초기 우수와 산업단지의 불명수를 처리할 수 있어 수질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석유화학단지에 완충저류시설을 설치해 수질오염 사고 예방과 수질개선은 물론 안전도시 울산에 한걸음 더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나머지 산업단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확대 설치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완충저류시설 설치사업은 낙동강수계에 한해 설치·운영됐지만 2014년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이 개정돼 전국 수계로 설치 의무가 확대됐다.
울산시는 2016년 시내 전체 산업단지에 대해 완충저류시설 설치·운영방안을 수립히거 미포국가산업단지, 온산국가산업단지, 신일반산업단지, 길천산업단지, 하이테크벨리산업단지 등 5개 산업단지 13곳에 순차적으로 완충저류시설을 확대·설치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총 5606억원을 투입하며 단지면적 7044만평방미터, 시설용량 46만2300입방미터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울산시는 석유화학단지 착공에 이어 온산국가산업단지 제3분구에 실시설계를 착수할 예정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