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전복껍데기의 진주층을 모방해 인공광합성 소자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류정기 교수(UNIST)와 김병수 교수(연세대) 공동연구팀이 산화그래핀과 분자촉매를 정교하게 조립해 인공 진주층을 만들고 인공광합성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켰다고 한국연구재단이 1월29일 밝혔다.
인공광합성은 식물이나 조류의 광합성처럼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유용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친환경 기술이지만 효율적 인공광합성을 위해 백금·이리듐 등 희귀금속 또는 전이금속 촉매가 필수적이고 기존촉매로는 제조비용 및 효율성에 제약이 있어 실용화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금속을 극소량만 사용하면서도 촉매 활성이 높은 분자 형태의 촉매에 주목했으며, 분자촉매를 물 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전복껍데기 진주층 구조를 모사함으로써 전극의 효율도 2.5배 가량 크게 증대시켰다.
전복껍데기 진주층은 탄산칼슘과 유기물이 교대로 겹겹이 쌓인 구조로, 키틴(Chitin)과 같은 유기물이 접착제 역할을 해 판상의 탄산칼슘을 고정시키고 전복껍데기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연구팀은 해당 구조에 착안해 분자촉매와 산화그래핀을 전극 표면에 층상으로 쌓았다.
산화그래핀은 분자촉매와의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전극표면에 순차적으로 쌓일 수 있으며 접착제 역할 뿐만 아니라 전극에서 생성된 전하를 촉매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해준다는 것도 확인됐다.
류정기 교수는 “해당 연구는 높은 효율의 인공광합성 소자를 자연모방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설계·개발한 것”이라며 “저탄소 녹색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신진연구),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국제 저명학술지 ACS Nano에 1월22일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