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태양광 발전에 대한 보조금 축소 정책을 철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최근 영업실적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국내 태양광 관련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2월18일 관계자들을 초청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태양광 발전 지원 정책 초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초안에는 2018년 5월 대폭 축소된 보조금을 2019년부터 상당수준 회복시키는 한편 지원 부문과 방식을 수정하는 내용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11월 NEA가 2022년까지 보조금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지 3달만에 구체적인 지원 정책이 나온 셈이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중국 재정부가 요청한 2019년 태양광 패널 설치 보조금 예산은 30억위안(약 5000억원) 수준”이라고 전하면서 “보조금이 반영되면 2019년 전체 설치규모가 2018년 수준을 넘어설 것”이라고 주장했다.
글로벌 태양광 전문매체인 PV테크도 “중국이 태양광 발전에 대한 보조금을 원래대로 되돌릴 것”이라고 전망한 뒤 중국 정부가 정책 유턴에 실패한 것이라고 규정했다.
중국은 2018년 5월 말 이른바 531 태양광 신정책을 내놓으면서 태양광 보조금을 대폭 축소했고, 2018년 태양광 패널 설치 수요가 전년대비 10GW 줄어들었고, 핵심 소재인 폴리실리콘(Polysilicon) 가격도 반토막이 나면서 국내 관련기업들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OCI는 2018년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44% 급감했으며, 4분기는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OCI는 “2018년 중국 정부가 보조금 축소를 발표하며 어려움이 이어졌다”고 밝혔다.
태양광 발전용 필름을 생산하는 SKC도 2월13일 2018년 영업실적을 공시하면서 “중국의 수요 절벽 등으로 흑자를 내던 필름 사업이 100억원 정도 적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한화케미칼 역시 2018년 태양광 사업부문의 적자 원인 가운데 하나로 중국 정부의 보조금 축소를 지목했다.
시장 관계자는 “국내 태양광 관련기업들의 최근 영업실적 부진은 중국발 악재가 큰 영향을 미쳤다”면서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이기 때문에 현지 수요가 회복되면 국내 관련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중국이 앞으로 보조금을 점진적으로 줄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국내기업들이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