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프(BASF)가 국내기업들과 공동 개발한 컨셉 휠체어를 공개한다.
바스트는 한국 휠체어 전문기업 휠라인 및 산업디자인 전문기업 레토디자인과 공동으로 개발한 컨셉 휠체어 렌체어(Ren Chair)를 5월 차이나플라스(Chinaplas) 2019에서 처음으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차이나플라스는 매년 개최되는 아시아 최고의 플래스틱 및 고무 무역박람회로 2019년에는 5월21-24일 중국 광저우(Guanzhou)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렌체어는 바스프의 고기능성 소재를 활용한 새로운 컨셉의 휠체어로 실제 휠체어 사용자가 직접 개발에 참여하며 디자인과 스타일을 높이면서도 장애인을 위한 안전하고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렌체어의 혁신적인 소재와 첨단 디자인은 휠체어 사용자 및 보호자에게 더욱 자유롭고 활동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발에 사용된 바스프의 혁신적인 고기능성 경량화 소재는 고강도,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기반으로 휠체어 사용자 및 보호자에게 편리함과 편안함을 제공하며 기동성을 높이고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파악된다.
연질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시스템 폼인 엘라스토플렉스(Elastoflex) W를 활용한 이중밀도의 강도를 지닌 좌석은 뛰어난 탄성 및 압축성으로 휠체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선사하며 가벼운 무게는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보호자의 상해위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엘라스톨란(Ellastolan)으로 가공된 인조가죽 좌석 시트커버는 촉감이 우수하며 쉽게 세척할 수 있다.
렌체어에 적용된 성형기법(Molding)이나 3D프린팅을 통한 복잡한 형상 가공은 바스프의 혁신적인 소재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구현됐다.
TPU 및 EP(엔지니어링 플래스틱) 등의 고기능성 소재는 공정이 간단해 기능저하 없이 컬러 첨가 및 감각적인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다.
일례로 엘라스토플렉스 W는 뛰어난 유동성을 갖추고 있어 자유자재로 복잡한 기하학적 모양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바스프 아시아·태평양 지역 산업 기능성 소재 사업부의 토니 존스(Tony Jones) 대표는 “렌체어 디자인은 인상적이고 감각적인 디자이너들이 모여있는 바스프의 크리에이션 센터의 도움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소재를 활용함으로써 실현시킨 것”이라며 “새로운 모습의 시제품을 공동 개발해 일상생활에서 독립성을 추구하는 휠체어 사용자들에게 의미있는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