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대표 김준)이 신 성장동력 육성에 속도를 낸다.
SK이노베이션은 5월27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2025년까지 배터리·소재·화학 등의 자산비중을 60%까지 확대하고 배터리와 소재 수직계열화로 전방위 밸류체인을 아우르는 플랫폼을 구축해 E모빌리티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모델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7년부터 추진해 온 딥체인지(근원적 변화) 2.0 경영을 통해 신규사업과 기존사업 모두 최근 글로벌 경쟁력이 강화됐다는 판단 아래 사업체제 안정화를 위한「행복한 미래를 위한 독한 혁신」이라는 새로운 성장전략을 세운 것으로, 특히 배터리 분야에 대한 투자를 계속 강화하겠다고 밝혀 주목된다.
배터리 사업은 2025년 세계 톱3에 진입하기 위해 기술리더십을 강화할 예정이다.
세계 최초로 차세대 배터리 핵심기술인 NCM(니켈코발트망간) 9½½를 배터리 양극재로 사용해 1회 충전거리 500km 이상 주행을 조기에 상용화하고 현재 430GWh인 수주잔고를 2025년 기준 700GWh로 확대하는 한편 현재 5GWh 수준인 생산능력을 100GWh로 확대할 방침이다.
배터리 분리막 사업에서도 2025년까지 생산능력을 25억평방미터 이상으로 확대해 세계 시장점유율을 30%대로 확대하고 세계 1위를 달성할 방침이다.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필름인 FCW(Flexible Cover Window)는 조기 시장진입에 성공한 만큼 산업 생태계를 선도해나갈 계획이다.
화학 사업에서는 패키징 분야와 오토모티브 분야에 집중한다.
기술기반 고부가제품군 이익비중을 현재 4%에서 2025년까지 19%까지 5배 확대하고 글로벌 영업이익 비중을 현재 24%에서 2025년까지 61%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소재·화학 등 성장사업의 자산 비중이 현재 30%에서 2025년에는 60%로 늘어나게 된다.
석유와 윤활유는 현재 주력사업인 만큼 성장을 계속 견인하도록 할 방침이다.
석유 사업은 베트남, 미얀마, 필리핀 등 동남아를 중심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핵심자산인 주유소를 공유인프라화하는 플랫폼 사업 등도 확장할 예정이다.
윤활유 사업은 고급 윤활기유인 그룹III기유 시장의 글로벌 No.1 지위를 바탕으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글로벌 파트너링을 다른 메이저와도 함께 함으로써 윤활기유 사업 확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SK이노베이션은 해당 전략을 아프리카 초원전략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은 “독한 혁신의 최종적인 목표는 모든 사업이 아프리카 초원에 안착해 생태계가 행복하게 공존할 오아시스를 파는 것”이라며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더블보톰라인 경영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