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한국산 손소독제, 진단키트, 손세정제 수출이 급증했다.
한국이 코로나19 방역·위생 모범사례로 주목받으면서 한국산 수요가 많이 늘어난 것이다. 재택근무가 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컴퓨터, 바이오·헬스, 화장품 수출도 호조세를 나타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3월 손소독제 수출액은 569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604.1% 폭증했고 2019년 수출액 678만달러의 83.9%에 달했다.
코로나19의 확산 속에서 손소독제 수출 증가율은 1월 12.5%에서 2월 2081.9%, 3월 604.1% 등 폭발적인 증가세를 나타냈다.
코로나19 등 진단키트 수출액은 4865만달러로 117.1% 급증했다.
2019년 진단키트 수출액은 2억1663만달러로 전년대비 45.0% 감소해 부진했지만, 2020년 들어 1월 18.0%, 2월 50.7%, 3월 117.1% 등 매월 2배 이상 확대되고 있다.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는 관계사 솔젠트는 3만명 분량의 코로나19 진단키트를 유럽에 수출했고, 바이오니아는 자체 개발한 진단키트를 루마니아 진단검사기업 SC PRAXIS MEDICA SRL와 수출계약을 맺었다.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에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입을 문의하거나 요청한 국가는 3월25일 현재 총 47개국에 달했다.
손세정제 수출 증가율도 1월 10.2%에서 2월 104.7%, 3월 81.4%로 급등했고 라면, 김치, 즉석밥, 즉석식품, 가공육 등을 포함하는 가공식품은 3월 54.1%, 세안용품은 68.9% 증가했다.
코로나19 펜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선언되면서 변화한 생활습관에 따라 수출이 늘어난 품목도 있다.
건강·자가면역 관련 수요가 늘어나면서 3월 바이오·헬스 수출은 23.7%, 기초화장품이나 세안용품의 판매 호조로 화장품 수출도 30.7%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재택근무와 실내생활이 확산됨에 따라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82.3%, 13.3% 증가했다.
반면, 1-2월 수출이 폭증했던 마스크는 3월 수출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마스크는 방직제품에 묶여수출액이 집계되지는 않았지만 2월26일 정부가 수출제한조치를 취하면서 수출이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정부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