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과 고려대학교가 배터리 분야 미래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을 위해 협력한다.
LG화학과 고려대학교는 6월23일 오전 11시 고려대 수당삼양패컬티하우스에서 배터리 분야 산학협력 협약식을 진행했다.
협약식에는 LG화학 전지사업본부 CPO 겸 배터리 연구소장 김명환 사장, 김중훈 고려대 공과대학장 등이 참석했다.
LG화학과 고려대는 앞으로 ▲차세대 배터리 소재 연구 ▲빅데이터·AI(인공지능) 교육 ▲스마트팩토리 구축 등 3개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
며 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위원회도 구성한다.
차세대 배터리 소재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고려대-LG화학 센터를 고려대에 설치하고 협력연구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양극재 및 음극재 소재 개발 뿐만 아니라 배터리 소재의 장수명화를 위한 기술 개발 연구도 병행하며 계속적으로 협력 분야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이밖에 LG화학이 R&D(연구개발) 및 생산기술 인원 중에서 선발한 32명을 대상으로 고려대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Digital Transformation) Expert 양성과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DX 전문가들은 배터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원천 데이터로부터 해결이 필요한 문제를 정의하고 적절한 데이터 분석방법론을 적용하는 법을 익혀 분야별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G화학이 전세계에 새로 구축할 공장의 설계 및 운용에 적용될 스마트팩터리 혁신기술 적용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고려대는 최근 스마트팩터리 구축 지원을 위해 국내 최고 전문가들을 영입해 국내외 유명기업들과 국제적인 플랫폼 협업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김명환 LG화학 사장은 “배터리 분야 1등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강화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AI 기반 제조역량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기존 내부역량 확보 뿐만 아니라 고려대와의 산학협력 등 오픈 이노베이션도 확대해 제조역량을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햤다.
김중훈 고려대 학장 역시 “4차 산업혁명 시대는 디지털 전환이 핵심”이라며 “기존의 교육, 연구, 기술개발 패러다임을 뛰어넘어 새로운 방법으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고려대의 차세대 배터리 소재, 인공지능, 스마트팩토리 관련 핵심 역량이 LG화학의 첨단소재 생산기술과 결합해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