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산업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3개월 연속 2자릿수대 감소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6월 수출액은 총 392억1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0.9% 감소했다.
2월 3.5% 증가에서 3월 1.6% 감소로 돌아선 후 4월 마이너스 25.5%, 5월 마이너스 23.6%에 이어 4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감소 폭이 3개월만에 10%대로 둔화됨으로써 개선 조짐을 나타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6월 조업일수가 2일 더 많았던 영향일 뿐이며 실제 조업일수를 고려하면 하루 평균 마이너스 18.5%로 5월(마이너스 18.3%)보다 악화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1년 전과 비교했을 때에는 하루 평균 수출이 감소했지만 4-5월과 비교하면 개선 조짐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하루 평균 수출액은 4월 16억5000만달러, 5월 16억2000만달러에서 6월에는 16억7000만달러를 나타냈고 주요 품목들의 수출 감소 폭도 다소 둔화됐다.
자동차는 5월 마이너스 54.2%에서 6월 마이너스 33.2%로 둔화됐고 자동차부품도 마이너스 66.8%에서 마이너스 45.0%로 개선됐다.
섬유 역시 마이너스 43.6%에서 마이너스 22.3%로, 석유화학도 마이너스 33.9%에서 마이너스 11.8%로 크게 개선됐다.
중국 수출액이 9.5% 증가하면서 6개월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대 수출국인 중국 수출은 5월에 이어 6월에도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됐다”면서 “중국의 투자·소비·생산 등이 2-3월 최저점을 기록한 이래 시차를 두고 회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도 마이너스 8.3%, EU(유럽연합) 마이너스 17.0%, 아세안(ASEAN)도 마이너스 10.8% 등으로 5월 마이너스 30%대 안팎의 감소율을 보였던 나머지 지역들도 조금씩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은 총 355억5000만달러로 11.4% 감소했고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감소하면서 무역수지는 36억7000만달러로 5월 4억5000만달러에 이어 2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6월 수출 증감률이 마이너스 10%대에 진입하는 등 주요 지표들이 개선된 것은 의미가 있다”면서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있고 경기회복 시점도 여전히 불확실한 만큼 국내기업들의 수출 활력을 높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세계무역기구(WTO) 최근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1-4월 누계 수출 순위가 2019년 7위에서 2020년 6위로 한단계 올랐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