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인디아 가스 누출사고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직업환경건강연구실과 환경보건시민센터 등은 7월14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LG화학 인디아 공장의 사고로 어린이를 포함한 주민 15명이 사망했다”며 “총체적 안전과실이 사고원인으로 조사된 만큼 LG화학 본사가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LG화학은 사고 직후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고 투명하게 소통하겠다고 약속했으면서도 2개월이 넘도록 사고원인과 책임 소재, 대책 등을 발표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작업환경의학 전문가인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도 “반경 400m 가량의 개활지에서 주민 사망자가 나왔다는 것은 가스 농도가 상당히 높았다는 의미”라며 “관리 매뉴얼이 어떠했는지도 따져봐야 하는데 LG화학은 현지당국에 제출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LG화학의 인디아 PS(Polystyrene) 생산법인인 LG Polymers India 공장에서는 5월7일 새벽 SM(Styrene Monomer) 가스가 누출돼 수백명이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공식적으로 12명, 이후 추가 사망자까지 포함해 15명이 사망했다.
LG Polymers India가 소재한 안드라프라데시(Andhra Pradesh) 주정부는 사고 후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경위를 조사했으며 7월7일 성명을 내고 LG화학의 관리 태만으로 사고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조사위원회는 사고가 발생한 주요 원인 21개 가운데 20개가 LG화학 경영진의 책임이라고 밝히면서 공장을 주거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전하라고 권고했다.
현지 경찰은 조사위원회 보고서가 나온 날 LG Polymers India 정선기 법인장과 기술 고문 등 한국인 직원 2명과 현지 직원 등 12명을 과실치사와 독성물질 관리 소홀 등 혐의로 체포해 구속 수감했다.
7월14일 기자회견에는 기업과 인권 네트워크,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 반올림, 환경운동연합을 포함해 13개 단체가 참여했다.
LG화학은 기자회견과 관련해 “신속하고 책임 있는 사태 해결을 위해 종합적인 지원 대책을 만들어 실행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인디아 당국의 조사 결과에 대해 절차에 따라 성실하게 대응하고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