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의 배터리 사업 분사 여부가 결정된다.
LG화학은 10월30일 오전 9시부터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동관 지하1층 대강당에서 배터리 사업부 분할 계획 승인을 안건으로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분할 계획 안건이 통과하면 12월 신설법인 LG에너지솔루션을 출범할 계획이다.
안건 의결을 위해서는 전체 주식의 3분의 1 이상, 주총 참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LG화학 지분율은 LG 등 특수관계인 34.17%, 국민연금 10.20%, 외국인과 국내기관, 개인 주주 등(기타)이 54.33%를 갖고 있다. 기타 지분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가 약 40%, 국내기관과 개인이 약 12%를 차지한다.
국민연금과 개인 투자자를 더한 약 22%는 분사에 반대표를 행사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LG화학 주주총회에는 60-80% 정도의 주주들이 참석하며 80%가 주총에 참석한다고 가정하면 안건 통과를 위해 3분의 2가 찬성해야 해 찬성 지분이 약 53%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LG 특수관계인 지분이 약 34%여서 분사 결정은 외국인 투자자의 선택이 좌우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ISS를 비롯해 한국기업지배연구원, 글래스루이스 등 국내외 주요 의결권 자문기관들이 대부분 LG화학 배터리 분사에 찬성의견을 냈고, 외국인 투자자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문사들이 찬성을 권고한 만큼 외국인과 기관은 찬성의견을 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10월29일까지 진행된 전자투표에서 찬성표가 상당 부분 확보돼 통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민연금 반대 등의 영향으로 일부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전자투표를 도입함에 따라 분사에 반대하는 개인 소액주주들이 결집해 반대표를 던지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10월30일 주주총회장 안팎에서 배터리 사업 분할에 반대하는 일부 소액주주들의 시위가 일어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LG화학은 배터리 분사 안건이 통과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끝까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배터리 사업 분할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강화하고 투자 유연성과 수익 동반 성장에 필요한 빠른 의사결정체계를 위한 것”이라며 “배터리 사업을 세계 최고로 육성해 주주가치와 기업가치를 더욱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