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산 ESBR(Emulsion Styrene Butadiene Rubber)에 고율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했다.
미국 상무부는 10월15일 한국산 ESBR에 대한 2차 연례재심 최종판정을 내렸다. LG화학과 금호석유화학, 포스코인터내셔널(옛 대우인터내셔널), 성산인터내셔널, 현대글로비스 등 7곳에 44.3%의 관세를 부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에 대한 관세는 2017년 8월 원심에서 9.66%로 책정됐으나 2차 연례재심에서 44.3%로 상향 조정됐다.
상무부가 가용정보 조항(AFA)을 적용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AFA는 미국 정부가 요구하는 자료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했을 때 상대방에 불리하게 관세를 물리는 조치이다.
상무부는 원심에서도 금호석유화학, 대우인터내셔널에 동일한 조치를 취해 44.3%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한국산 ESBR에 대한 조사는 2016년 7월 미국 합성고무 생산기업인 라이언 엘라스토머스(Lion Elastomers)의 청원으로 시작됐다.
상무부가 2017년 2월 예비 긍정판정을 내리고 7월 최종판정을 거쳐 관세를 부과했으며 2018년 9월부터는 2차 연례재심 심사를 시작했다.
2019년 8월까지 2차 심사를 진행한 후 2020년 6월 예비판정, 10월 최종판정이 발표됐다.
상무부가 고율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하며 LG화학, 금호석유화학 등 국내 생산기업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ESBR은 합성고무의 일종으로 타이어, 호스 등에 사용되며 미국 수출액은 2016년 HS코드 4002.19.0014가 4593만달러(약 512억원), HS코드 4002.19.0019는 1432만달러(약 159억원)를 기록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