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의 안정성과 효율을 향상하는 첨가제를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박혜성·양창덕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에 미량의 유기화합물을 첨가해 태양전지의 수분·열·광 안정성을 복합적으로 개선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전지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변환 효율도 기존보다 17% 이상 향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페로브스카이트는 햇빛을 흡수해 전하 입자를 만드는 태양전지의 핵심소재로 작은 결정 알갱이들이 뭉쳐진 다결정 구조여서 만들기 쉽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수분이나 열 같은 외부 자극에 약하며 결정 알갱이 사이의 경계면 결함은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마치 보도블록 틈과 같은 경계면 결함을 따라 페로브스카이트가 외부 자극을 받아 분해되는 현상이 가속화되기 때문이며 경계면 결함에서 광 생성 전하 입자들이 사라져 태양광을 전기로 바꾸는 효율도 떨어지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결정 알갱이 하나의 크기를 키워 전체 경계면 결함을 줄이는 첨가제(Y-Th2)를 개발해 결정 씨앗 숫자 자체를 줄이는데 성공했다.
결정 알갱이는 씨앗이 먼저 만들어진 후 씨앗이 점점 자라는 방식으로 생기기 때문에 씨앗 숫자를 줄이면 알갱이 하나의 크기를 더 키울 수 있다.
첨가제는 결정을 천천히 자라게 만들어 결정 알갱이 내부 원자가 고르게 배열되고 효율도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개발된 첨가제를 넣은 태양전지는 넣지 않은 태양전지보다 약 17% 향상된 21.5%의 초기 광전변환 효율을 기록했고 외부 자극에 대한 안정성이 복합적으로 향상돼 1600시간 작동 후 첨가제가 들어가지 않은 태양전지는 광전변환 효율이 초기 효율의 30% 이하로 급감한 반면 첨가제를 넣은 태양전지는 초기효율의 80% 이상을 유지했다.
박혜성 교수는 “하나의 첨가제를 이용해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복합 안정성과 광전기적 성질을 모두 개선한 연구”라며 “첨가제는 태양전지 뿐만 아니라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광전 소자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는 에너지·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인 Advanced Energy Materials 10월30일자로 온라인 공개됐으며 출판을 앞두고 있다.
연구 수행은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발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을 통해 이루어졌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