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 4사가 5조원에 달하는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 4사는 1-3분기 4조8074억원의 적자를 냈다.
SK이노베이션이 2조2439억원으로 적자규모가 가장 컸고, 에쓰오일이 1조1808억원, GS칼텍스 8680억원, 현대오일뱅크 5147억원 순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2-3분기 흑자 전환한 곳도 있으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재확산세와 석유제품 수요 감소로 4분기 전망도 어두운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연합인포맥스는 최근 1개월 시장 전망치 평균을 분석한 결과, SK이노베이션이 4분기 2187억원의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평가 이익 효과로 3분기 적자를 289억원으로 개선했지만, 4분기에 재고평가 이익이 줄고 정제마진 약세도 이어지면서 적자가 다시 늘어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3분기 흑자 전환했던 GS칼텍스도 재고평가 이익 효과가 사라지며 다시 적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대오일뱅크와 에쓰오일은 4분기 영업이익을 낼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으나,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의 적자규모가 더 커 4사 합계 적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정유기업들은 산유국 사이의 저유가 전쟁으로 국제유가가 폭락했던 2014년 사상 최악의 영업실적을 거두었으나 2020년이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당시에는 현대오일뱅크를 제외한 3사가 모두 적자를 내 합계 적자 총 7510억원을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은 37년, GS칼텍스는 6년, 에쓰오일은 34년만의 적자였다.
정유기업들은 2020년에 코로나19에 따른 석유 수요 실종과 정제마진의 추락으로 수익성이 대폭 악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항공유, 선박 연료용 벙커C유 소비가 급감했고, 국가간 이동제한 조치와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석유제품 판매도 줄었다.
최종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과 수송·운영비 등을 뺀 정제마진은 통상 배럴당 4달러를 넘어야 수익이 나지만 2020년 평균 정제마진은 0.36달러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에 따라 국내 정유 4사는 공장 가동률이 1월 83.8%에서 10월 71.6%로 떨어졌다.
시장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라 2021년 하반기부터 국내 정유기업들의 영업실적이 본격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유안타증권은 SK이노베이션의 2021년 영업이익을 1조원으로 예상하며 코로나19 백신 효과로 휘발유, 항공유 등 수요 회복이 가시화되고 싱가폴 복합정제마진이 손익분기점 수준으로 회복해 하반기 영업실적 회복이 뚜렷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신증권은 “낮아진 설비 가동률과 높아진 재고를 고려할 때 2021년 하반기부터 정제마진이 유의미하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