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이산화탄소(CO2) 자원화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추진한다.
울산시는 2월2일 오후 시청 본관 상황실에서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 출범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송철호 울산시장, 김희천 중소벤처기업부 규제자유특구기획단장,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14개 참여기업 및 기관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해 사업계획 발표, 간담회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산화탄소 자원화 특구 사업은 이산화탄소를 모아 만든 탄산칼슘으로 경제적 가치가 있는 건설·화학소재를 만드는 것으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총괄 주관하며 국비 93억원을 포함한 172억원이 투입된다.
사업기간은 2021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이다.
고등기술연구원이 폐기물 소각장에서 생산한 45% 이상 저품위 탄산칼슘을 세움건설, 케이지케미칼 등에게 공급해 도로포장용 콘크리트나 테트라포드 등으로 상품화하고, 네오그린이 울산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에서 생산한 95% 이상 고품위 탄산칼슘을 유원산업, 지디아이 등이 특수제지나 방진고무 등으로 제조할 방침이다.
생산제품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성능 분석과 친환경 인증 등 실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울산시는 특구 사업 성과가 관련 산업 전반에 파급돼 신산업 성장과 고용 촉진 효과를 낼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출범식에서는 탄소중립 선도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특구 사업 참여기업 및 기관에게 필요한 행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예정된 사업비를 제때 지급하도록 도우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참여기업의 실증에 관한 기술 지원과 애로 해소를 위해 협력한다.
사업 참여기업 및 기관은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성과 확산 등을 통해 탄소중립 사회를 선도하도록 노력하는 내용의 협약으로 파악되고 있다. (강윤화 선임기자)